Journal Search Engine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6783(Print)
ISSN : 2288-1484(Online)
Journal of the Korea Safety Management & Science Vol.14 No.4 pp.59-70
DOI :

미용업 종사자의 사고재해 경험 및 사용제품의 안전 인식도에 관한 연구

최 서 연*, 허 국 강**, 박 동 현***
*인하대학교 대학원 의학과, **인하공업전문대학 항공경영과, ***인하대학교 산업공학과

Study on Experience of Industrial Accidents and Awareness Level for Beauty Product Safety of Beauty Industry Employee

Dong-Hyun Park***, Seo-Yeon Choi*, Kuk-Kang Hur**
***Dept. of Industrial Engineering, Inha University
*Dept. of Social & Preventive Medicine, Inha University
***Dept. of Airline Service Management, Inha Technical College

Abstract

This study compared data regarding industrial accidents and awareness level for beauty product safety forfour main parts of beauty industry such as hair-care, nail-care, skin-care, and make-up. Major risk factors inbeauty industry are dust, musculoskeletal disorders, and organic solvent of beauty product in order ofpercentage. The specific types of industrial accidents in beauty industry are mainly associated withmusculoskeletal system such as cuts, sprain, and varicose vein. They are mainly compensated by personalbudget. The awareness levels of chemical and heavy metal containment for beauty product by beauty industryemployee were 77.2% and 59.1% respectively. Most employee confirmed only important items of labellingrequirement of beauty product. Also, most employee did not understand MSDS(Materila Safety Data) forchemicals used in beauty industry.
Only 38.1% of beauty industry employee has had safety education while most employee (73.6%) realized thatthey needed safety education. Also, safety education supervised by KOSHA(Korea Occupational Safety andHealth Agency) was the most preferred. This study would be good basis for safe and healthy workingenvironment of beauty industry employee.

Reference

1. 문지현(2001). 미용실에서 작업과 관련된 사고와 질 환의 실태 파악.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보건복지부(2009). http://www.mw.go.kr/
3. 고용노동부, 산업안전공단, 2011, 미용업의 산업재해 예방 가이드.
4. 김명우, 김성남(2009). 미용실 작업환경 종사자의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5(2). pp667-677.
5. 조진아(2007). 미용사의 작업안전의식 및 화학물질 위해인지도에 관한 연구. 한국미용학회지. 13(3). pp. 1028-1039.
6. 유숙희(2011). 네일살롱의 안전․위생 인식 실태 및 네일 도구의 오염 미생물 분석. 서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양진희, 조진아(2008). 네일관리 분야의 유해 화학 물질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고찰. 한국미용 학회지. 14(2)호. pp.535-543.
8. 임인숙, 방희봉(2005). 미용 관련 학과 변화 조사. 한국인체예술학회지. 6(4). pp.183-198.
9. 대한민국 네일 단체 협의회(2011). 네일미용사 면허 제도 신설을 위한 제3차 공청회 네일미용을 위한 실천적 방안. pp54-55.
10. 디지털서울문화예술대학교(2010). 사이버 대학교 미용학과 재학생의 교과 과정 만족도와 교육 특 성화방안
11. 김미정(2009). 미용서비스산업에서 지각된 대기시 간이 서비스 평가 및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2. 최외숙(2011). 피부미용사의 스트레스, 근무환경이 직업만족도와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 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이영숙(2010). 미용서비스업 종사자의 직무분야별 정기건강검진 인식과 직무만족도. 한남대학교 사 회문화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조미자(2006). 네일아트 종사자들의 근골격계 질환 에 관한 연구. 남부대학교 산업정책대학원 석사학 위 논문.
15. 김영경, 김재경(2000). "Total Fashion의 요소로서 네일관리에 관한 연구", 부산여자대학교 논문집
16. 우수진(2005). 여대생들의 메이크업과 네일 아트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원격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산업재해보상보험법제5조제1호. http://www.law.go.kr/
18. 강동묵, 이종태, 강민숙, 박성희 엄상화, 김성준, 정 귀원, 손혜숙, 박봉진(1999). 미용업 종사자들의 피 부, 호흡기 및 근골격계 자각증상에 관한 유병률. 대한산업의학회지.11(.2). pp.385.
19. 송미라(2003). 광주광역시 소재 일부 미용실의 공기 오염도와 개인노출. 광주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 고희정(2001). 일부 미용업 종사자의 유해물질 노 출 및 피부증상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 위논문.
21. 심정희(2008), Nail shop의 실내 환경 및 건강자각 증상 조사.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윤미혜, 엄미나, 도영숙, 김재관, 손종성, 김기철, 임준래(2002), 매니큐어 중 Di-n-butyl Phthalate 사용실태 조사연구. 대한위생학회지. 17(2). pp.34-38.
23. Gjlstad M, Thorud S, Molander P(2006). Occupational Exposure To Air borne Solvents During Nail Sculpturing. National Institute Of Occupational Health. 5.
24. GL, Rapport LJ, Axelrod BN, Whitman RD (2002). Neurocognitive septulate of exposure to organic solvents and (meth)acrylates among nail-studio technicians. Wayne State University, Detroit, Michigan 48202, USA. Neuropsychiatry Neuropsychol Behave Neural.15(1). pp.44-55.
25. Starr JC, Yunginger J, Brahser GW(1982). Immediate type 1 asthmatic response to henna following occupational exposure in hairdressers. Annals of Allergy. 48. pp. 98-99.
26. Jocelyne Forest a, Mylrne Trottier a, Michele Lalonde c, Robert Simard a(2003). Characterization of Chemical Exposures in Hairdressing Salons. Applied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ygiene. 18(12). pp.1014-1027.
27. Stock L, Cone J(1998). Barbering and Cosmetology in Encyclopaedia of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International Labour Organization. 100. pp.5-9.
28. Babish, J.G., Scarlett, J.M., Voekler, S.E.,G utermann, W.H.,Lisk, D.J.,(1991). Urinary mutagens in cosmetologists and dental personnel. J., Toxicol. Environ. Health. 34. pp. 197-206.
29. 조영민, 강상완, 오종민(2001). 작업장에서의 유해 유기용제 폭로에 관한 연구, 환경영양평가. 9(1). pp. 75-86.
30. 양진희(2009). 네일 종사자들의 유해화학물질 노출 실태 및 생물학적 모니터링에 관한 연구. 서경대 학교 박사학위논문.
31. 조진아(2005). 염색제중 일부 유해화학물질의 성분 분석과 유해물질 표시제도 및 안전의식에 관한 연 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 SEARCH
  2. Online Submission

    http://submission.koreasafety.or.kr

  3. KSSM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ManagementWaste Society

  4. Editorial Office
    Contact Information

    - Tel: +82.31.336.2844
    - Fax: +82.31.336.2845
    - E-mail: safety@mju.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