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6783(Print)
ISSN : 2288-1484(Online)
Journal of the Korea Safety Management & Science Vol.20 No.2 pp.9-20
DOI : http://doi.org/10.12812/ksms.2018.20.2.009

The Effects of HVAC Management on Condensation Cause and Prevention in Indoor Swimming Pools

Ha-Dong Sung*
*Department of Industrial & Management, Myongji University, Yongin
Corresponding Author : 405, Woolim Lions Valley 2-cha, 2 Gasan digital 1-ro, Geumcheon-gu, Seoul, Korea, SUNG HA DONG 53, M․P: 010-8781-7479
May 10, 2018 May 10, 2018 June 14, 2018

Abstract

This study is empirically intended to look into the effects of HVAC management on condensation cause and prevention in indoor swimming pools. The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xperience of condensation in indoor swimming pools showed that 132 out of 142 people in total experienced the condensation in indoor swimming pools, which they had a high experience rate of 92.3%. For the location of condensation, the wall joints were 46.8% and the windows were 34.5%, which a total of 72.3% occurred in the wall joints and windows. Second, the effect of construction design, HVAC management and building construction on the cause of condensation in indoor swimming pools showed that building construction had an effect on the cause and location of condensation depending on the seasonal time, partially adopting hypothesis 1. Third, the effect of condensation-causing factors on condensation-preventing factors in indoor swimming pools showed that condensation had a close relationship with air and temperature conditions depending on the time and location of condensation, adopting hypothesis 2.
As for the above-stated findings, the HVAC management in indoor swimming pools is an important concern factor that continues to cause condensation despite the development of advanced construction materials. Especially, building construction is a main factor that has a direct effect on condensation in the HVAC management of facilities. This implies that the window management is important in maintaining the wall joints - which can suppress the selective use and defect occurrence of construction materials - or confined spaces for a long time.

실내수영장 공조관리 요인이 시설물 결로원인과 예방에 미치는 영향

성하동*명지대학교 산업경영공학과
*

초록


1. 서론

 

현대인들은 여가시간을 활용한 스포츠 활동을 통해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영위하고자 하는 욕구가 한층 높아졌다(김수연, 2008)

스포츠 활동 중에서 특히 수영은 남녀노소, 신체장애와 상관없이 누구나 쉽게 접할 수 있는 대중스포츠이며 재활 치료로도 권장되고 있다(김한석, 2006). 수영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이제 수영장은 대도시뿐만 아니라 중소도시 어디든 기본적인 체육시설로 애용되고 있다(강효민, 2005).

현재 우리나라에서 운영되고 있는 공공 실내 수영장은 2017년을 기준으로 400여 개소에 달한다(문화체육관광부, 2017). 이같이 공공 실내 수영장의 공급이 수요를 추월해감에 따라 수영장 시설을 통해 이용자 유치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으며, 이용자들은 보다 더 우수한 시설과 좋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수영장 시설을 이용하려는 욕구가 강해 시설관리자들의 어려움을 가중시키고 있다.

따라서 다양화, 대형화, 대중화 되는 경쟁사회에서 이용자의 수준에 맞추어 질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여 새로운 고객을 유치하는 동시에 기존 고객을 유지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Davis, 1994; Howard, 1992).

그러나 지금까지의 실내 수영장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를 볼 때 수영장 이용자들의 구매행동이나 서비스 만족도, 운영방법, 시설 이용에 관한 연구들을 볼 때 기대 이상의 만족을 이루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신용호, 2007; 김태현, 2008; 이상현, 2011; 조충기, 2011). 특히 시설 이용의 불만족 현상 중 하나인 실내 결로 현상에 따른 시설 이용의 제한이다.

오늘날 수영장은 여가 활동의 수단으로 이용되고 있으나 시설 운영상 높은 유지와 공조관리에 따른 빈번한 시설하자의 발생으로 수영장 이용자의 장애요인이 되고 있으며 갈수록 결로 빈도가 증가하고 있지만 이에 대한 실태조사나 대책이 수립되지 못하고 있다. 실내수영장 결로현상의 증가는 심각한 분쟁과 함께 갈등을 유발하며 이러한 결로로 체육·스포츠 활동이 위축되어 현대인의 체육·스포츠 활동에 큰 장애요인이 되고 있다(고기환, 2005).

최근 시공되는 건물의 대다수는 결로에 대한 향상된 설계와 시공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사용자의 생활패턴 변화와 요구 수준 향상으로 최근 준공된 수영장에서는 아직도 결로현상에 대한 민원이 발생하고 있다. 결로의 발생원인은 사용자들로 인한 실내 습기의 과다 발생과, 창호자재 고성능화에 따른 건물의 기밀성이 높아짐으로써 발생한 환기부족이 결로 발생률을 높아지게 하는 원인으로 대두되고 있다. 결로 피해는 실내에 발생하는 곰팡이로, 인간과 건축물에 심각한 피해를 유발하며 이용자에게 금전적, 정신적, 건강에 악영향을 끼치고 있다.

그리고 건축물 피해로 실내 마감재 오염과 박리, 이용자의 생필품 파손 등과 같은 마감재 및 구조체 등에 피해를 주어 건축물 수명을 단축시킨다.

결로는 내부 마감재의 표면 온도가 노점온도 이하가 될 때 발생하는 것으로 시설환경이 변함에 따라 결로 발생의 양상 역시 점차 변하고 있다. 건물의 단열 및 기밀성이 낮은 과거의 건물에서는 결로가 거의 발생하지 않았지만, 건축기술의 발전과 국민 소득의 증대로 건축물의 단열 및 기밀성능이 점차 향상됨에 따라 결로는 이제 건축물에서 가장 빈번히 발생하는 하자 중의 하나가 되었다(지명호, 2012).

즉 2014년 하자심사·분쟁조정위원회에 접수된 하자 건수를 보면 총 20,007건 이었으며 그중 결로 부문은 3,401건으로 17%에 육박하였다(오세민 외, 2016). 이러한 추세는 수영장 실내에서의 과도한 가습기 사용, 수영장 욕조의 높은 온도 등으로 인해 다량의 수증기가 실내에서 발생하는데 비해 미세먼지의 내부유입을 막기 위한 자연환기 기피, 실내의 기밀성능 증대로 인한 실내 수증기의 자연 배출의 어려움 등으로 내부 결로 발생 가능성이 점차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반대로 이렇게 변화한 실내 온습도 환경을 적극적으로 반영한 결로방지 설계와 시공은 이루어지지 못한 것이 가장 큰 원인이며 이로 인해 결로로 인한 하자 여부 논란과 소송은 계속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특히 단열재의 불연속으로 인한 열교로 발생한 결로하자는 국부적인 범위의 마감재 하자와는 달리 보수 범위가 광범위한 경우가 많아 단열보수와 함께 주변 마감재의 전면적인 재시공이 수반될 수 있고, 공사기간 동안 이용자의 일시적인 휴업까지 고려해야 하는 등 직간접적으로 큰 보수비용이 발생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또한 구조체 내부에서 발생하는 결로는 단열재의 수분 흡수로 인한 열화 및 성능 저하를 초래하는 등의 피해를 유발하며, 마감재 표면에 발생하는 결로는 2차적으로 곰팡이 발생을 초래하여 미관을 저하시키고 피부·호흡기 질환이나 알레르기 등을 유발함과 동시 회원 탈퇴로 인한 경영의 어려움에 이르게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실내수영장의 결로하자 발생사례를 중심으로 실태조사를 통해 유형별 원인분석과 개선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실내수영장의 품질 향상을 도모하여 이용자의 만족도를 높이고 시공사의 하자보수비용 및 이용자의 피해보상비용 등의 결로로 인한 직·간접적인 사회적 비용 손실을 절감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을 갖는다.

 

2. 연구방법

 

2. 1 연구모형

 

현재 국토교통부에서 제시한 결로 방지를 위한 표준 실내 온습도 조건은 실내온도 25℃, 상대습도 50%이고 결로 발생이 시작하는 노점온도는 13.9℃이다. 그리고 외기온도는 지역별로 각각 –20℃, -15℃, -10℃로 정하고, 실내 온·습도와 외부온도의 여러 조합에 따라 해당 부위에 결로가 발생하는 지 여부를 판단하는 온도 차이비율(TDR)을 설계시 갖추어야 할 최소 성능기준으로 설정하여 적용하고 있다. 또한 국토교통부는 결로의 경우, 법령 등 기준에 따라 작성된 설계도서에 적합하게 시공되지 아니한 사례를 하자로 판정하며, 비단열 공간 또는 임의로 설치한 시설물 결로는 하자에서 제외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토지주택공사는 2003년부터 국토교통부에서 제시한 온도차이비율(TDR)을 이미 설계에 적용하고 있으며, 현재 한국토지주택공사에 시행하여 입주한 건축물을 대상으로 한 결로 예상 발생율을 분석한 결과 국토교통부 설계조건 적용시 결로 예상 발생율이 최저 12.03%에서 최고 24.37%까지 이르고 있을 정도로 결로현상은 시설공조 관리 뿐만 아니라 시설 설계 부피 시공, 관리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따라서 건축물에 대한 결로 방지 설계기준과 하자 판정기준에 대한 인식정도와 실태에 대한 설문조사를 위하여 실내수영장 공조관리 요인을 설계, 공조관리, 건축시공 관리 요인을 반영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모형을 도식화 하였다.

 

 

 

 

 

2. 2 가설설정

 

위의 설정된 연구모형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검정할 가설은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가설 1. 시설공조 관리요인은 결로원인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1-1. 건축설계 요인은 결로시기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1-2. 공조관리 요인은 결로시기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1-3. 건축시공 요인은 결로시기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1-4. 건축설계 요인은 결로위치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1-5. 공조관리 요인은 결로위치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1-6. 건축시공 요인은 결로위치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2. 결로발생 요인은 결로예방 요인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2-1. 결로발생 시기요인은 결로예방 공기요인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2-2. 결로발생 시기요인은 결로예방 온도요인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2-3. 결로발생 위치요인은 결로예방 공기요인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2-4. 결로발생 위치요인은 결로예방 온도요인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2. 3 조사대상

 

설문조사는 2018년 4월 23일부터 2018년 4월 30일까지 7일간 서울시 소재 실내수영장 건축관련 시공자, 설계자, 감리사, 시설관리사 각 50명씩 총 2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2. 4 측정도구 및 설문지 구성

 

설문조사는 설문자료를 활용하여 면접조사 형태로 실시하였다. 설문내용은 기본적인 인구통계적 요인과 인구사회적 요인 17문항을 반영하고(성별, 연령별, 경력), 결로방지 설계기준 인식정도와 결로 하자판정 인식정도 및 수영장 환경(난방, 가습, 환기 등)을 묻는 공조관리 요인을 5점 척도 문항으로 38문을 구성하였다. 그밖에 결로예방을 위한 공기 및 온도관리 요인으로 19문항을 국토교통부 설계 기준과 한국토지주택공사의 설계기준을 참고하여 총 74문항을 구성하였다.

 

 

 

 

 

2. 5 분석방법

 

실내수영장 시설관리인 외 설문응답자의 성, 나이, 경력, 교육수준, 결로발생빈도. 부위 등은 빈도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측정변인의 적합도를 검증하고, 구조방정식을 실시하여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변인들 간의 영향 관계를 알아보고자 공분산구조분석(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CSA)를 실시하였다. 가설적 경로모형의 적합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모형적합성 판단 여부 기준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통계량(p>.05 적합), 원소 간 평균차이인 RMR(Root Mean-Square Residual: .05 이하 적합), 기초부합치인 GFI(Goodness-of-Fit Index: .9 이상 적합), 조정부합치인 AGFI(Adjusted Goodness-of-Fit Index: .9 이상 적합), 표준 부합치인 NFI(Normed Fit Index: .9 이상 적합), 비표 준부합치인 TLI(Tucker-Lewis Index: .9 이상 적합)를 이용하였으며, 여섯 가지 평가 기준 중 5개 이상이 평가기준에 도달하면 측정모형이 적합하다고 판정하였다.

 

3. 연구결과 분석

 

3. 1 표본의 일반적 특성

 

표본의 특성은 <표 2>에 제시되었다. 성별의 특성을 보면 남자가 85.2% 여자가 14.8%였으며, 연령은 40대 35.7%, 30대 30.8%, 50대 26.6%로를 차지하였다. 종사부분의 경우 설계 23.1%, 수영장 시설관리 22.4%, 시공 14.7% 순으로 나타났다. 결로 발생경험의 경우 92.3%가 있다고 응답하였다. 실내수영장에서 결로가 발생한 곳은 벽체접합부 46.8%, 창 34.5% 순으로 나타났다.

 

 

 

 

 

 

3. 2 측정도구의 타당도 검증 (확인적 요인분석)

 

측정도구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신뢰도 검증을 통해 구성된 측정항목을 바탕으로 하위변인에 대해 공분산 행렬을 이용한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을 실시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은 사전에 탐색적인 연구가 이루어졌거나, 미리 가정한 모형으로 자료를 충분히 설명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한 관점에서 분석을 진행하는 방법이다. 확인적 요인분석의 결과를 해석하기 위해서 먼저 전반적인 적합지수를 검토해야 한다. 이 연구에서는 확인적 요인분석 모형의 적합도를 평가하는 일반적인 기준치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통계량, 원소 간 평균 차이인 RMR(Root Mean Square Residual), 기초부합치인 GFI(Goodness-of-Fit Index), 조정부합치인 AGFI(Adjusted Goodness-of-Fit Index), 표준부합치인 NFI(Normed Fit Index), 비표준부합치인 TLI(Tucker-Lewis Index)를 이용하였는데, 일반적으로 여섯 가지 평가 기준 중 4개 이상이 평가기준에 도달하면 측정모형이 적합하다고 판정한다.

 

 

 

 

 

시설공조 관리요인, 결로원인, 결로발생 요인이 결로예방 요인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적합도는 <표 3>에 제시된 바와 같이 산출되었다. 입력공분산행렬과 추정공분산행렬의 차이와 표본의 크기에 의해 결정되는 =2369.07이며 유의확률은 p<.001로 나타났으며, Q=2.33, RMSEA=.067, NFI=.947, CFI=.902, GFI=.903, AGFI=.925, TLI=.938로 분석되어 구조 방정식의 모형은 검증되었다. Q값은 자유도의 증감에 따른 χ²의 변화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3보다 적어야 전반적인 적합도를 만족하며, 8까지는 허용할 수 있는 수치(10이상인 경우에는 모형적합도에 문제가 있다), RMSEA는 .05 이하, NFI, CFI, GFI, TLI는 .90 이상이면 적합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적합도는 검증되었음을 알 수 있다.

 

 

 

 

 

 

 

연구개념에 대한 집중타당도 및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경로계수의 경우 모든 경로에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신뢰도 수치도 .6 이상으로 나타났다. 평균분산추출량은 Fornell과 Laker(1981)가 제안한 공식에 의하여 계산하였으며, 평균분산추출량은 일반적으로 0.5이상이면 집중타당성을 갖는 것으로 받아들이는데 본 연구의 측정모형에서 사용된 구성개념간의 평균분산추출량은 <표 4>와 같다.

 

3. 3 가설의 검정

 

시설공조 관리요인이 결로원인에 미치는 영향과 결로발생 요인이 결로예방 요인에 미치는 영향 간의 인과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연구대상자 전체와 브랜드별로 AMO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공분산구조분석(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CSA)을 실시하였다.

 

 

 

 

 

가설 1. 시설공조 관리요인은 결로원인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시설공조 관리요인은 결로원인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칠 것인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경로계수를 살펴보면, ‘건축설계 요인은 결로시기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의 경우 β=-0.143으로 나타나,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공조관리 요인은 결로시기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의 경우 β=-0.178으로 나타나,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건축시공 요인은 결로시기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의 경우 β=1.222으로 나타나,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p<.001). ‘건축설계 요인은 결로위치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의 경우 β=-0258으로 나타나,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공조관리 요인은 결로위치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의 경우 β=006으로 나타나,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건축시공 요인은 결로위치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의 경우 β=0.82으로 나타나,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p<.01). 따라서, 가설의 경우 ‘가설 1-3. 건축시공 요인은 결로시기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와 ‘가설 1-6. 건축시공 요인은 결로위치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의 경우에 가설이 채택되었음을 알 수 있다.

 

가설 2. 결로발생 요인은 결로예방 요인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2-1. 결로발생 시기요인은 결로예방 공기요인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2-2. 결로발생 시기요인은 결로예방 온도요인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2-3. 결로발생 위치요인은 결로예방 공기요인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2-4. 결로발생 위치요인은 결로예방 온도요인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결로 발생 요인은 결로 예방 요인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칠 것인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경로계수를 살펴보면, ‘결로발생 시기요인은 결로예방 공기요인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의 경우 β=1.034로 나타나,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p<.001). ‘결로발생 시기요인은 결로예방 온도요인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의 경우 β=.727로 나타나,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p<.001). ‘결로발생 위치요인은 결로예방 공기요인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의 경우 β=-.341로 나타나, 유의한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p<.01). ‘결로발생 위치요인은 결로예방 온도요인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의 경우 β=-0.035로 나타나,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가설 2-1. 결로발생 시기요인은 결로예방 공기요인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2-2. 결로발생 시기요인은 결로예방 온도요인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2-3. 결로발생 위치요인은 결로예방 공기요인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의 가설이 채택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가설 검정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4. 결론

 

이상의 연구 결과 첫째, 실내 수영장 결로 발생의 경험은 전체 142명 중 132명이 경험하여 92.3%의 높은 경험율을 보였으며 결로 발생 위치에서는 벽체 접합 부분이 과반수인 46.8%와 창문이 34.5%로 전체 72.3%가 벽체 접합 부분과 창문에서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실내수영장 시설공조 관리요인의 건축설계, 공조관리, 건축시공 요인이 결로 발생 원인에 미치는 영향력에 있어 건축시공 요인에 따른 발생 원인으로 계절별 시기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고 발생위치 또한 다른 것으로 나타내 가설 1은 부분 채택되었다.

셋째, 실내수영장 결로 발생 요인이 결로 예방 요인에 미치는 영향력에 있어 결로 발생 시기와 위치에 따라 발생하는 결로가 공기와 온도 상태와 밀접한 연관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내 가설 2는 채택되었다.

이 같은 결과를 보면 실내수영장 공조관리가 첨단 건축 자재의 개발에도 불구하고 계속해서 발생하는 중요 관심 요인임을 실증해주고 특히 시설 공조관리에 있어 결로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핵심요인으로 건축시공 요인으로 이는 건축자재의 선별 사용과 하자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벽체 접목 부분이나 장시간 밀폐된 공간 유지에 따른 창호관리의 중요성을 시사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같은 결로 발생은 건축시공상의 하자관리도 중요하지만 적정 실내 온습도의 환기 개방도 중요함을 의미함과 동시 본 연구를 통한 실무적 시사성을 갖는다. 따라서 실내수영장 표본 건축 시방 기준에 의한 시공에 준하되 실내수영장의 온습도 관리가 타시설 비례 매우 높고 강제 환기 나 통풍 또한 매우 제한된 점에서 설계 조건 적용시 결로 발생율을 고려한 공조관리 시설을 이에 부응한 기준으로 설계, 시공, 관리될 수 있도록 예외 적용이 요구된다.

Figure

Table

Reference

  1. 고기환 (2005), “체육/스포츠 안전사고의 법 이론과 판례” 서울: 도서출판 홍경.
  2. 김수연 (2008), “성인여성의 휘트니스 클럽 참여 동기와 만족도”, 한국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김태현 (2008), “공공 수영장의 서비스품질과 만족도가 재구매에 미치는 영향”, 경원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한석 (2006), “수영장이용고객의 선호요인 저해요인 만족도 재 구매 의사의 비교분석”,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문화체육관광부(2017), ‘2017년 전국 공공체육시설 현황’
  6. 신용호 (2007), “수영장 회원들의 서비스 만족 및 구매 후 행동과의 관계”,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오세민, 김유리, 박선효, 정광섭 (2016), “벽체 결로 하자 사례와 시뮬레이션을 통한 결로 방지 성능 평가방법 개선방안” 대한설비공학회, 2016(6), 94-96.
  8. 이상현 (2011), “실내수영장 고객의 이용형태에 따른 서비스만족도 연구: 광주 지역을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조충기 (2011), “스포츠 센터 내 수영장 서비스품질 만족도가 충성도 및 재 구매에 미치는 영향”, 경원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지명호 (2012), “공동주택 세대내 결로 하자판정 사례 연구”, 서울시립대 도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Davis, K. A. (1994), “Sport marketing: Successful private sector business strategies” Dubuque, Iowa: Brown & Benchmark.
  12. Howard, D. R (1992), “Participation rates in selected sport and fitness activities” Journal of Sport Management, 6(3), 191-205
  1. SEARCH
  2. Online Submission

    http://submission.koreasafety.or.kr

  3. KSSM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ManagementWaste Society

  4. Editorial Office
    Contact Information

    - Tel: +82.31.336.2844
    - Fax: +82.31.336.2845
    - E-mail: safety@mju.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