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6783(Print)
ISSN : 2288-1484(Online)
Journal of the Korea Safety Management & Science Vol.23 No.2 pp.19-24
DOI : http://dx.doi.org/10.12812/ksms.2021.23.2.019

Studies on the Health Status and Health Management Plan Using Health Check-up Index of Male Petroleum Refinery Workers in South Korea

June-Hee Lee*
*Department of Occupational & Environmental Medicine, Soonchunhyang University Hospital, Seoul, Korea
Corresponding Author : June-Hee Lee, Department of Occupational & Environmental Medicine, Soonchunhyang University Hospital, Seoul, Korea, 59 Daesagwan-ro, Yongsan-gu, Seoul, Korea, E-mail: junelee@schmc.ac.kr
March 9, 2021 June 11, 2021 June 11, 2021

Abstract

The petroleum refinery industry handles a variety of complex chemical substances and employs a large number of people around the world. According to previous research, diseases caused by exposure to chemicals were quite common among workers in refineries until the 1980s. More recently, it is unusual for oil refinery workers to suffer from these serious diseas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occurrence level of general diseases and any differences in lifestyle habits of workers in refineries in Korea compared with the general population. In this study, we used the results of health examinations from 2014 for workers at a large oil refinery in South Korea. In addition, based on the results of KNHANES from 2014 as representative of the population, hypertension, diabetes, anemia, hyperlipidemia, liver function abnormality, and kidney function abnormality were calculated using the standardized incidence rate. Hypertension showed a low result with an SIR of less than 1, but a high result in the case of abnormal liver function. The workers’ occurrence rates of hypertension, hyperlipidemia, kidney dysfunction, and anemia were lower than those of ordinary salaried employees. however, their occurrence rate for abnormal liver function was markedly higher. In lifestyle habits, the smoking rate of workers was low while the alcohol consumption rate was quite high. This study has improved the understanding of the health status of workers in a large oil refinery in Korea, and has shown the impact of lifestyle habits related to the work environment on chronic diseases.

한국 정유공장 남성 근로자의 만성질환 관련 지표를 이용한 유소견자 실태 확인 및 관리방안

이준희*
*순천향대학교 부속 서울병원 직업환경의학과

초록


1. 서 론

 정유업은 다양한 복합 화학물질을 다루는 산업으로 세 계적으로 많은 수의 근로자가 근무하고 있는 산업이 다.[1-4] 또한 현대 산업사회의 근간이 되는 주요 산업으 로 그 중요성은 계속 높아져 왔다. 정유업에서 발생하는 물질은 호흡기와 피부로 흡수되어 인체에 영향을 주게 되 며 이로 인한 발암성은 이미 연구를 통하여 알려져 있 다.[5-8] 과거의 연구를 보면 1980년대 이전까지 정유 공장에서 일하는 근로자에서 화학 물질 노출에 의한 질병발생이 흔하였다.[5-9] 특히 과거에 시행된 코호트 연구 를 보면 물질된 노출에 의해 질병 발생에 분명한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최근의 연구에 따르면 과거 에 비해 질병 발생의 영향을 파악하고 작업환경을 개선하 여서 심각한 질병의 발생은 많이 줄어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저농도 장기간 노출에 대한 연구가 근래 들어 활발 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과거의 코호트 연구보다는 단면적 연구가 시행되고 있다.[10-13]
 원유를 다루는 정유업의 특성상 근로자는 매우 다양한 종류의 물질에 노출된다.[14-15] 예를 들어 solvents, lubrication-oil bases, oils, waxes, paraffin 등의 중간 산물 들도 있고 benzene, toluene and xylene (BTX) 과 같은 산물 들도 취급하게 된다.[16-18] 이외에 여러 가지 중금속 들이나 기본 시설의 보수 작업에서 발생하는 금속흄이나 야외 작업에 의한 건강 영향도 고려하여야 한 다.[19-21] 과거에 많은 문제가 되었던 벤젠의 경우 벤 젠의 건강영향이 잘 알려지지 않았던 1930년대에는 허용 기준이 100ppm 정도로 높았지만 연구가 진행되며 백혈 병 등의 건강영향이 있는 것으로 밝혀진 이후에는 ACGIH 기준으로 0.5ppm 이하로 노출 기준이 낮아졌다.[22-25] 이와 같이 물질 노출에 대한 기준은 계속해서 낮아져 왔고 이는 근로자의 건강상태 향상에 기여하였다.[26] 그러나 기존의 연구들은 물질의 노출과 관련된 백혈병, 암과 같은 중대 질환에 대하여 연구 하여 왔다.[24,27] 이는 이미 많은 메타 분석과 코호트 연구로 물질의 노출 기준을 낮추 는 데에 기여하여 왔고 근래에는 정유공장에 일한다고 하 더라도 이러한 중대 질환에 의하여 고통받는 경우는 드물 다.[28,29] 특히 우리나라의 정유공장은 안정적인 고용 조건과 상대적으로 높은 연봉이 보장되는 선망하는 직장 중 하나이며 화학물질로 부터의 보호와 건강을 위한 복지 혜택 등으로 건강상태는 과거에 비하여 비약적인 발전을 이루었다.[30,31] 게다가 우리나라에서는 근로자 건강보 호를 위한 특수건강검진이 노출 물질 별로 특성화 되어 시 행되고 있기 때문에 이에 따른 질병 발생이 잘 모니터링 되고 있다.[32]
 반면 일반 질병이나 건강 습관에 대한 부서별 특성을 반영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외국과는 다른 우리나 라 정유공장의 특성상 일반 인구에 비하여 일반적인 만 성 질환 발병 정도를 확인해 보고 건강습관의 차이를 알 아보고 사무직 일반직에 비하여 일반적 만성 질환의 정 도를 알아보고 이 특성을 이용하여 정유공장 근로자들의 일터의 특성을 고려한 보건관리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고 자 한다.
 

2. 연구방법

 본 연구는 우리나라 일개 정유공장의 2014년도의 건강검 진 결과를 가지고 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을 위하여 취득한 데이터는 개인식별이 불가능하도록 재가공하였으며 이는 연세대학교 연구심의위원회의 연구승인을 획득하였다.[33]
 건강검진 결과상 만성질환이 의심되는 군을 분류하였 으며 만성질환으로 분류한 질환의 종류로는 고혈압, 당뇨, 빈혈, 고지혈증, 신장기능 이상, 간기능 이상으로 총 6가 지의 질병이 의심되는 의심자를 유소견자로 분류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으로는 연령별 분류와 생활 습관 으로도 분류를 하였는데 생활 습관으로는 흡연, 음주, 운동여부를 나타내었다. 또한 같은 해의 국민건강영향조사 대상자 중 자영업을 제외한 근로자를 연령별로 분석하여 위의 자료에서와 마찬가지로 고혈압, 당뇨, 빈혈, 고지혈증, 신장기능 이상, 간기능 이상으로 총 6가지의 질병의 의심자의 수를 구하고 이를 바탕으로 연령별 표준화 발생 률을 나타내었다.
 통계분석 방법으로는 각 군별 빈도 분석을 시행하였고 정유공장 근로자의 건강검진 자료와 국민건강자료를 이용한 질환 의심자에 대하여 표준화 발생률을 산출하였다.
 

3. 연구결과

3.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연구대상자는 정유공장 근로자 중 남성 총 1,199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령별로는 20대부터 60대까지를 대상으로 하였다. 국민건강영향조사에서 대상자 선정은 봉 급생활장 남성 총 647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으며 연령 별로는 20대에서 60대까지로 분석을 시행하였다.
 
 

3.2 만성질환 의심자 빈도 분석

 정유공장에서 근무하는 남성 근로자의 가장 호발 의심 만성질환으로는 당뇨로 약 44%에 이르는 결과를 보였으 며 가장 낮게 나온 질환으로는 신장기능 이상으로 약 0.58% 정도의 비율을 보였다. 국민 건강영향조사를 통한 남성 근로자에서 가장 호발하는 의심 질환으로는 고지혈 증으로 약 38%정도의 비율을 보였으며 가장 낮은 비율을 보인 의심 질환으로는 신장기능 이상으로 약 0.31% 정도의 빈도를 보였다.
 

3.3 정유공장 근로자와 일반근로자와의 빈도 비교 및 표준화 발생률

 고혈압의심자의 경우 국민건강영향 조사에서 남성 근로자를 기준으로 하였을떄 정유공장 근로자에서 전반적으 로 낮은 비를 보였으며 발생률 또한 0.78정도로 낮았다.
 당뇨의심자의 경우 정유공장 근로자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을 보였으며 특히 20대에서 높은 비를 보였다.
빈혈 의심자는 정유공장 근로자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비율을 보였으며 신장질환 의심자와 마찬가지로 매우 낮 은 빈도를 보였다.
 고지혈증의 경우 20대를 제외 하고는 상대적으로 낮은 발생 비율을 보였으며 전체로 보았을 때는 0.62로 정유공 장 근로자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발생 비를 보였다. 간기능 이상 의심자의 경우 정유공장 근로자에서 전반 적으로 높은 발생비를 보였지만 특히 40대 후반의 나이에 서 발생비 15.53으로 높은 발생비를 보였다.
 생활습관의 경우 정유공장 근로자의 경우 흡연은 상대 적으로 낮았으나 적절치 못한 음주는 상대적으로 높았다. 신체 활동의 경우에서 일반 직장인들이 80%가 넘는 비율 에서 적절한 신체활동을 하고 있다고 대답하였으나 정유공 장 근로자에서는 55%만 적절한 운동을 하고 있다고 응답 하여 상대적으로 신체활동에 대하여 낮은 비율을 보였다.
 

4. 결론 및 향후 연구 과제

 검진 결과 상 만성질환으로 의심되는 군을 분류하였으 며 만성질환으로 분류한 질환의 종류로는 고혈압, 당뇨, 빈혈, 고지혈증, 신장기능 이상, 간기능 이상으로 총 6가 지의 질병군으로 나누었다.
 정유공장은 많은 유해물질에 노출되나 과거에 비해 유 기용제 등의 특수한 물질에 의한 건강상의 피해는 많이 감 소하였다.[28,29] 그에 반해 현재 정유 공장의 위치나 근무 여건을 고려하여 정유공장 근로자의 만성 건강영향에 대하여 관리하는 정책을 수립하는 등의 학술적 연구는 부 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유해 물질 노출 에 대한 관리뿐 아니라 만성 질환이나 생활 습관에 관한 특성을 고려한 건강관리에 대한 도움이 되고자 하였으며 연구 내용을 바탕으로 한 연구의 결과 중 취약하다고 생각되는 내용은 아래와 같다.
 정유공장은 원자재와의 접근이 용이한 항만 근처에 위 치하고 있으며 거점 도시이기는 하나 수도권과의 거리가 먼 특징을 가지고 있고 가족과 함께 생활하는 근로자도 있 으나 회사에서 자체적으로 기숙사를 운영하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는 경우도 많다. 검진 결과 상 간기능 이상 의심 자의 빈도가 전반적으로 높으나 특히 40대 후반에서 일반 근로자에 비해 많은 수의 간기능 이상의 소견 의심자가 있 었다. 20대의 경우 일반직 근로자에 비해 당뇨 의심자 및 고지혈증 의심자의 빈도가 높았다. 생활 습관의 경우 흡연 율은 일반적 직장인 보다는 낮은 양상을 보였으며 이는 항 시 인화성 물질을 다루기 일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적절하지 못한 음주 행태와 부족한 운동 등의 특성은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을 보였다. 이는 위의 결과와 연관성이 있는 생활 습관으로 보이며 근무 여건과 더불어 지역적인 특성, 거주 형태와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1년의 자료만을 본 단면연구라는 점이다. 다만 본 연구에서 특정 사업군의 생활습관 및 만성 질환에 대한 첫 번째 비교 연구라는 점은 단면연구 임에도 충분한 가치가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본 연구의 강점으로 는 정유공장 근로자를 상대로 한 만성질환에 대한 연구 이자 일반직군과의 비교를 통한 취약점을 드러낸 첫 번째 연구라 는 점이다. 향후 본 연구를 바탕으로 좀 더 많은 데이터를 이용한 연구가 계획되어 각 변수들 간의 유기적 관계도 알아 볼 수 있기를 바라며 본 연구를 통해 동종 근로자에게 적절 한 보건관리 계획 및 맞춤형 건강관리에 도움이 되어 좀 더 안전한 근로환경을 만드는 데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Figure

Table

Reference

  1. [1]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1989), Diesel and gasoline engine exhausts and some nitroarenes. IARC Working Group on the Evaluation of Carcinogenic Risks to Humans.
  2. [2] W. W. Huebner, S. A. Robert, et al.(1997), “Mortality experience of a young petrochemical industry cohort: 1979-1992 follow-up study of US-based employees.”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39(10):970-982.
  3. [3] B. J. Divine, C. M. Hartman, J. K. Wendt(1996), An updated report on the Texaco mortality study 1947–1993. Houston, TX: Texaco.
  4. [4] M. N. Harandi, J. D. Kushnerick, H. Owen(1991), Petroleum refinery process and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of alkyl aromatic hydrocarbons from fuel gas and catalytic reformate. U.S. Patent No.4,992,607.
  5. [5] M. A. Mehlman(1992), “Dangerous and cancercausing properties of products and chemicals in the oil refining and petrochemical industry: VIII. Health effects of motor fuels: Carcinogenicity of gasoline—Scientific update.” Environmental Research, 59(1):238-249.
  6. [6] J. P. W. Gilman(1962), “Metal carcinogenesis II. A study on the carcinogenic activity of cobalt, copper, iron, and nickel compounds.” Cancer Research 22(2):158-162.
  7. [7] J. Siemiatycki, et al.(2004), “Listing occupational carcinogens.” Environmental Health Perspectives, 112(15):1447-1459.
  8. [8] R. Doll, L. G. Morgan, F. E. Speizer(1970), “Cancers of the lung and nasal sinuses in nickel workers.” British Journal of Cancer, 24(4):623-632.
  9. [9] M. A. Mehlman, M. S. Legator(1991), “Dangerous and cancer-causing properties of products and chemicals in the oil refining and petrochemical industry-Part II: Carcinogenicity, mutagenicity, and developmental toxicity of 1, 3-butadiene.” Toxicology and Industrial Health, 7(3):207-222.
  10. [10] M. T. Smith, R. M. Jones, A. H. Smith(2007), “Benzene exposure and risk of non-Hodgkin lymphoma.” Cancer Epidemiology Biomarkers & Prevention, 16(3):385-391.
  11. [11] P. E. Enterline(1974), “Respiratory cancer among chromate workers.”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16(8):523-526.
  12. [12] P. Wilkinson, et al.(1999), “Lymphohaematopoietic malignancy around all industrial complexes that include major oil refineries in Great Britain.”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56(9):577-580.
  13. [13] T. Norseth(1980), “Cancer hazards caused by nickel and chromium exposure.” Journal of Toxicology and Environmental Health, Part A Current Issues, 6(5-6):1219-1227.
  14. [14] E. Symanski, L. L. Kupper, S. M. Rappaport(1998), “Comprehensive evaluation of long-term trends in occupational exposure: Part 1. description of the database.”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55(5):300-309.
  15. [15] I. Lundberg, R. Milatou(1986), “Mortality and cancer incidence among Swedish paint industry workers with long-term exposure to organic solvents.” Scandinavian Journal of Work, Environment & Health, 24(4):108-113.
  16. [16] J. D. McLean, P. K. Kilpatrick(1997), “Effects of asphaltene solvency on stability of water-in crude-oil emulsions.” Journal of Colloid and Interface Science, 189(2):242-253.
  17. [17] J. W. Anderson, et al.(1974), “Characteristics of dispersions and water-soluble extracts of crude and refined oils and their toxicity to estuarine crustaceans and fish.” Marine Biology, 27(1):75-88.
  18. [18] J. Roma-Torres, et al.(2006), “Evaluation of genotoxicity in a group of workers from a petroleum refinery aromatics plant.” Mutation Research/Genetic Toxicology and Environmental Mutagenesis, 604(1):19-27.
  19. [19] B. Nemery(1990), “Metal toxicity and the respiratory tract.” European Respiratory Journal, 3(2):202-219.
  20. [20] R. A. Goyer, T. W. Clarkson(1996), “Toxic effects of metals.” In C. D. Klaassen (Ed.), Casarett & Doull’s toxicology. The basic science of poisons (5th ed). McGraw-Hill Health Professions Division, ISBN 71054766.
  21. [21] L. Fishbein(1981), “Sources, transport and alterations of metal compounds: An overview. I. Arsenic, beryllium, cadmium, chromium, and nickel.” Environmental Health Perspectives, 40:43-64.
  22. [22] WHO(2000), “Benzene.” In WHO (Eds.), Air quality guidelines. WHO Regional Office for Europe, Copenhagen.
  23. [23] WHO(1993), Environmental health criteria 150:Benzene. World Health Organization, Geneva.
  24. [24] M. T. Smith, L. Zhang(1998), “Biomarkers of leukemia: Benzene as a model.” Environ. Health Persp., 106(Suppl. 4):937–946.
  25. [25] R. Snyder(2000), “Overview of the toxicology of benzene.” J. Toxicol. Environ. Health Part A, 61:339 –346.
  26. [26] D. A. Savitz, R. Moure(1984), “Cancer risk among oil refinery workers: A review of epidemiologic studies.”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26(9):662-670.
  27. [27] G. K. Raabe, K. W. Collingwood, O. Wong(1998), “An updated mortality study of workers at a petroleum refinery in Beaumont, Texas.” American Journal of Industrial Medicine, 33(1):61-81.
  28. [28] O. Wong, G. K. Raabe(2000), “A critical review of cancer epidemiology in the petroleum industry, with a meta-analysis of a combined database of more than 350,000 workers.” Regulatory Toxicology and Pharmacology, 32(1):78-98.
  29. [29] J. Vlaanderen, et al.(2011), “Occupational benzene exposure and the risk of lymphoma subtypes: A meta-analysis of cohort studies incorporating three study quality dimensions.” Environmental Health Perspectives, 119(2):159-167.
  30. [30] K. D. Eum, et al.(2007),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effort–reward imbalance questionnaire: A study in a petrochemical company.” International Archive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ealth, 80(8):653-661.
  31. [31] H. M. Kwon(2006), “The effectiveness of process safety management (PSM) regulation for chemical industry in Korea.” Journal of Loss Prevention in the Process Industries, 19(1):13-16.
  32. [32] J. M. Kim(2007), “The health effects of industrial nois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29(2):131-137.
  33. [33] Lee, June-Hee Studies on the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life style and working condition of petroleum refinery workers in South Korea (2012-2016). Diss.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17.
  1. SEARCH
  2. Online Submission

    http://submission.koreasafety.or.kr

  3. KSSM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ManagementWaste Society

  4. Editorial Office
    Contact Information

    - Tel: +82.31.336.2844
    - Fax: +82.31.336.2845
    - E-mail: safety@mju.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