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6783(Print)
ISSN : 2288-1484(Online)
Journal of the Korea Safety Management & Science Vol.23 No.2 pp.31-36
DOI : http://dx.doi.org/10.12812/ksms.2021.23.2.031

Review and Comparison of OWAS, RULA and REBA Based on Literature Survey

Dohyung Kee*
*Department of Industrial Engineering, Keimyung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 Dohyung Kee, Department of Industrial Engineering, Keimyung University, 1095 Dalgubeol-Daero, Dalseo-Gu, Daegu, E-mail: dhkee@kmu.ac.kr
February 9, 2021 March 18, 2021 March 22, 2021

Abstract

This study aims to review observational methods for assessing postural loads such as OWAS, RULA and REBA, and to compare them, based on the literature survey. The literature was searched through academic database of ScienceDirect using the key words of observational methods, OWAS, RULA and REBA. The results exhibited that of the thee methods, RULA was cited in the literature and applied to manufacturing industries the most frequently. Although it has been known that RULA is appropriate for assessing upper body postures, it has been applied to healthcare and social work activities, agriculture, forestry, fishing, construction, mining and quarrying, which require unstable lower limb postures. The countries where more number of relevant studies have been carried out were USA, India, Brazil, UK, etc. It was recommended that of the three techniques, RULA may be better for assessing postural loads, because it evaluated postural loads more highly, irrespective of industry, work type and lower limb postures, and its assessment results had higher agreement rate with experts’ assessments than those of OWAS and REBA.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a guideline for selecting an appropriate observational method.

문헌조사에 기반한 OWAS, RULA 및 REBA의 연구 현황 및 비교

기도형*
*계명대학교 산업공학과

초록


1. 서 론

 고용노동부 산업재해분석 자료에 의하면 2019년에 근 골격계질환은 9,440건 발생하여, 전년 대비 2,725건(약 41%) 증가하였다[18]. 산업이 선진화되어 가면서 단순반 복 작업이 늘고, 정부가 산업재해 인정을 완화하는 기조 를 취하고 있어 근골격계질환 증가 추세는 지속될 것으로 추정된다. 근골격계질환 관련 위험 요인 노출을 줄이려는 중재(intervention) 프로그램 실행이 가장 좋은 예방책 으로 알려져 있다[1, 4, 13]. 중재 프로그램 시행을 위해 서는 우선적으로 근골격계질환 위험 요인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평가에는 설문조사와 같은 자기 보고법 (self-reports), EMG와 같은 기기를 사용하는 직접 측정 법, 육안으로 관찰하여 평가하는 관찰적 기법(observation method) 등이 있다. 이 중 비용이 작게 들고 사용이 쉬우 며 작업자의 작업 방해가 작은 관찰적 기법이 많이 사용되 고 있다[9, 13].
 관찰적 기법은 1974년에 Priel에 의해 Posturegram 이 개발된 이후[27], OWAS (Ovako Working Posture Analysis System)[19], RULA (Rapid Upper Limb Assessment)[12], REBA (Rapid Entire Body Assessment)[22], LUBA (Loading on the Upper Body Assessment)[10], RAMP (Risk Assessment and Management Tool for Manual Handling Proactively) I, II[5, 6] 등 다양한 기법이 개발되어 왔다.
 개발된 관찰적 기법은 각기 적용 분야, 장단점이 있으나 현재까지 OWAS, RULA, REBA가 가장 많이 연구에서 인용되고 현장에서 적용되고 있다. 구글 기준으로 2021 년 2월 4일 현재 인용 회수는 OWAS 발표 논문이 1,523 회, RULA 1,993회, REBA 2,048회였다. 따라서, 본 연 구에서는 대표적 관찰적 기법인 OWAS, RULA 및 REBA 를 문헌조사를 바탕으로 연구 현황을 정리하고, 그 특성을 비교하고자 한다.
 

2. 연구방법

 본 연구는 관찰적 기법, 근골격계질환 위험 요인 평가를 다룬 문헌조사를 근거로 이루어졌다. 연구에서 문헌조사 는 저자가 보유하고 있는 문헌, 문헌의 참고문헌 목록에 나오는 문헌과 observational method, OWAS, RULA, REBA를 검색어로 한 ScienceDirect 검색을 통하여 구한 문헌을 바탕으로 이루어졌다.
 

3. 결 과

3.1 기법별 평가 요소 및 결과

 OWAS는 전신 자세(등 4 자세, 팔 3 자세, 다리 7 자 세). 다루는 중량물(3 범주)에 대해서 평가하며, 총 252 개 조합이 가능하며 이들에 대하여 최종 평가 결과인 action category 네 범주를 결정하는 표가 제시되어 있다 [19]. RULA는 상지 자세 평가에 초점이 맞추어진 기법이 며 European Community Directive (90/270/EEC)와 영국 Guidelines on the prevention of work-related upper limb disorders의 평가 요구 사항을 충족하는데 유 용하다[12]. 신체의 오른쪽이나 왼쪽 중 부하가 큰 부분을 평가하며 평가 결과에 따라 1-7점 범위의 grand score 가 산출되고, 이에 따라 최종 평가 결과인 action level 네 수준이 결정된다.
 REBA는 전신 자세와 빠르게 크게 변하는 자세나 불안 정한 자세 평가에 사용할 수 있다[22]. RULA와 같이 신체 한쪽 부위를 평가하며 1-15점의 REBA score가 산출되 고, 이의 크기에 따라 action level 다섯 수준이 정하여 진다.
 세 가지 기법의 평가 요소 및 결과는 <표 1>에 정리되 어 있다[9, 12, 13, 17, 19, 22]. RULA는 하지 자세를 반영하고는 있으나, 2 자세로만 분류한다. OWAS는 외부 부하나 힘을 10kg 단위로 크게 분류하고, RULA는 10kg 이하의 외부 부하나 힘을 평가할 수 있다.
 
 

3.2 적용 논문 수

 Gómez-Galán et al.(2017)이 Web of Science를 이 용하여 검색한 1974년부터 2017년 3월까지 OWAS를 적용한 학술대회 및 저널 논문 수는 166개였다[15]. Gómez-Galán et al.(2020)은 Web of Science - Core Collection을 이용하여 1993년부터 2019년 4월까지 RULA를 적용한 저널 논문을 검색하였는데, 관련 논문은 226개였다[14]. Hita-Gutiérrez et al.(2020)이 Web of Science-Core Collection로 검색한 2002년부터 2019년 7월까지 REBA를 적용한 저널 논문(review 논 문 포함) 수는 91개였다[16].
 

3.3 적용 분야

 Gómez-Galán et al.(2017)에 따르면 OWAS는 대 상 166개 논문의 적용 분야는 제조업이 32편으로 가장 많았고, 헬스케어 및 사회복지 활동 22편, 정보통신, 농 축수산 및 임업 각 19편, 교통 및 저장 10편, 건설 9편 등의 순으로 적용되었다[15]. 기타 가정활동, 광업 및 채 석, 교육, 숙박 및 음식, 관리 및 지원 서비스 활동 등의 분야가 있었다.
 Gómez-Galán et al.(2020)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RULA 적용 분야는 제조업 74편, 건강 및 사회복지 활동 38편, 농수산 및 임업 18편, 교통 및 저장, 관리 및 지원 활동, 교육 각 12편, 정보통신 9편 등의 순으로 많았다 [14]. 기타 적용 분야는 건설 4편, 도소매 및 자동차와 오 토바이 수리, 예술, 예능 및 레크리에이션, 기타 서비스 활 동 각 3편, 전문가, 과학자 및 기술자 활동, 광업 및 채석, 행정 및 국방과 의무적(compulsory) 사회 보장 활동, 가정활동 각 2편이 있었으며, 물 공급, 하수도, 물 관리 활동, 금융 및 보험 활동 1편이 있었고, 위 분야로 분류되지 않은 기타 분야가 25편이 있었다.
 Hita-Gutiérrez et al.(2020)의 연구에 의하면 제조 업 22편, 농수산업 및 임업 20편, 건강 및 사회복지 활동 15편 등의 순으로 REBA 적용 논문이 많았다[16]. 기타 건설, 교통 및 저장 각 4편, 가정활동 3편, 물 공급, 하수도, 물 관리 활동, 전문가, 과학자 및 기술자 활동 각 2편, 교육 1편 등의 적용이 있었으며, 특정 분야로 분류되지 않은 논 문은 15편이었다.
 

3.4 국가별 기법 적용 논문 수

 OWAS를 다룬 논문의 저자 국가별로는 핀란드가 13편 으로 가장 많았고, 브라질 12편, 네덜란드 10편, 인도 및 영국 각 8편, 슬로베니아 7편, 폴란드, 일본, 독일 각 6편, 대만 및 터키 각 5편으로 뒤를 이었다. 우리나라는 3편(자 동차 2편, 철강, 전자, 자동차, 화학 및 종합병원 1편)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15].
 RULA는 논문 저자가 아닌 적용 지역에 따라 국가별로 분류하였으며, Gómez-Galán et al.(2020)에 따르면 RULA 적용 논문을 발표한 국가는 34개였다. 그 중 미국 이 23편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이란 21편, 말레이시 아 17편, 인도 16편, 포르투갈 16편, 브라질 16편, 캐나다 및 영국 11편 등의 순이었다[14].
 REBA는 91개 사례에 24개 나라에서 적용되었다. 인 도가 16편으로 가장 많았고, 미국 11편, 이란 및 터키 8편, 캐나다, 우리나라 및 브라질 각 5편 등의 순으로 적용되었 다[16].
 

3.5 저널별 논문 분포

 OWAS는 저널별로 논문 수를 정리한 자료는 없었으 나, Gómez-Galán et al.(2017) 논문의 참고문헌 목록 을 기준으로 정리하였다. ‘Applied Ergonomics’에 14편, ‘Work-A Journal of Prevention Assessment & Rehabilitation’에 11편,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rgonomics’에 10편, ‘International Journal of Occupational Safety and Ergonomics’에 7편, ‘Ergonomics’에 5편, 학술대회에 38 편이 발표된 것으로 조사되었다[14].
 RULA는 ‘Work-A Journal of Prevention Assessment & Rehabilitation’에 가장 많은 26편이 발표되었고, ‘Applied Ergonomics’에 16편,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rgonomics’에 12편, ‘International Journal of Occupational Safety and Ergonomics’에 8 편 등의 순으로 발표되었다[14].
 REBA는 ‘Work-A Journal of Prevention Assessment & Rehabilitation’이 17편으로 가장 많았고,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rgonomics’에 14편이 발표되었 다. 나머지 48개 저널에는 1-3편의 논문이 발표되었다[16].
 

3.6 기법별 평가 결과

 Kee and Karwowski(2007)는 철강, 전자, 자동차 및 화학 산업과 종합병원 작업에 대한 301개 작업 자세를 OWAS, RULA 및 REBA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8]. 연 구는 산업, 작업 형태(들기작업, 조립, 정비, 검사 등과 같 은 일반적 작업, 좌식작업), 다리 자세의 불안정성 여부에 관계없이 RULA가 OWAS, REBA에 비하여 자세 부하를 높게 평가하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RULA 평가 결과가 OWAS와 REBA에, OWAS 혹은 REBA에 비하여 자세 부하를 높게 평가한다는 연구가 다수 있었다[10, 20, 21, 23, 24, 25, 26]. REBA가 OWAS보다 자세 부하를 높게 평가한다는 연구는 찾을 수 있었으나[3, 8, 11, 20, 24], 반대로 OWAS가 REBA보다 자세 부하를 높게 평가하는 연구는 찾을 수 없었다.
 

3.7 기법의 신뢰성

 Kee and Karwowski(2007)는 여러 산업의 작업 자세 301개를 세 기법을 이용하여 평가한 결과, OWAS와 RULA, RULA와 REBA, OWAS와 REBA 간 신뢰도(평 가 결과의 일치도)는 각각 29.2%, 48.2%, 54.5%라고 제 시하였다[8]. Joshi and Despande(2019)는 기존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OWAS와 RULA, RULA와 REBA, OWAS와 REBA 간 평가 결과 일치도가 각각 37.5%(8개 연구 결과 종합), 25.0%(20개 연구 결과 종합), 36.4% (11개 연구 결과 종합)라고 보고하였다[17]. Chiasson et al.(2012)은 6개 산업 분야의 18개 공장에서 얻은 543개 자세를 평가한 결과 RULA와 REBA 간 일치도는 73.7%이고, 쌍체상관계수는 0.67임을 제시하였다[13]. Enez and Nalbantoğlu(2019)는 목재 벌채 작업 3,119 개 자세를 OWAS와 REBA를 이용하여 평가한 결과 일치 도가 29.1%였다[11].
 Schwartz et al.(2019)은 청소 관련 작업 189개 자세 를 8명의 평가자(초보자 7명, 인간공학 전문가 1명)가 평 가한 결과를 바탕으로, 평가자 내(intra-rater) 신뢰도를 ICC(Intra-Class Correlation)로 평가하였는데 REBA score에 대해서 0.925로 높아 평가가 일관되게 이루어졌음을 보였다[2]. REBA score에 대한 평가자 간 (inter-rater) 신뢰성 계수는 0.41로 나타났으며, 이는 전체 변동의 59%가 평가자 간 변동에 의한 것임을 의미한 다. Action level 수준의 Flesis kappa 값은 0.54로, 중간 (moderate) 정도의 일치도를 보였다. Kong et al.(2017) 은 우리나라 농업에서 일어나는 196개 자세를 OWAS, RULA, REBA를 이용하여 평가한 결과와 16명의 전문가 (인간공학 전문가 10명, 산업의 4명, 농업 전문가 2명)의 평가 결과의 일치 정도를 분석한 결과, RULA의 kappa값 이 0.63으로 OWAS(0.50), REBA(0.49)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28]. 즉, RULA는 전문가와의 평가 결과의 일치 정도가 좋은(good) 반면, OWAS, REBA는 중간 정도 수 준을 보였다.
 

3.8 기법의 장단점

 OWAS의 장단점은 다음과 같다[9, 13, 15]. 간단하여 사용하기 쉽고, 특별한 훈련 없이도 보건, 공학, 산업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다. 단점으로는 많은 연구들 이 상지의 오른쪽, 왼쪽 구분 없이 평가하였고, 목, 팔꿈치, 손목 등의 신체 부위는 평가를 할 수 없다. 어깨는 평가 코드가 있으나 부족하고 연속 동작의 반복이나 지속시간 이 반영되어 있지 않다.
 RULA와 REBA는 상지 혹은 전신 자세의 반복적 작업 평가에 신뢰성 있는 기법이고,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어 왔 으며 간단하여 적용에 특별한 지식이나 경험을 요구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펜과 종이만 있으면 쉽게 적용할 수 있 어 비용-효과적(cost-effective)이고, 평가 후 인간공학 적으로 문제가 되는 부분을 파악할 수 있다. 반면, 오래 지속되지 않는 작업의 부하를 과대평가하고, 왼쪽 혹은 오 른쪽 신체 부위를 따로 평가하여야 하며, 작업자가 작업을 수행하는 시간을 고려하지 않는 점은 단점이라 할 수 있다 [14, 16]. REBA는 RULA와 달리 coupling 효과와 10kg 이상의 중량물을 평가할 수 있다[12, 22].
 

4. 토의 및 결론

 본 연구는 문헌 조사를 바탕으로 연구에서 가장 많이 인용되며 적용되고 있는 관찰적 기법인 OWAS, RULA, REBA의 연구 현황을 정리하고 특성을 비교하였다. 조사 기간이 달라 직접적 비교는 어렵지만 OWAS 적용 논문 수 166개에는 학술대회 발표 논문이 포함되어 있어 이를 제외한다면, 세 기법 중 RULA가 저널 논문에서 가장 많 이 인용되고 적용되어 왔다고 할 수 있다. 적용 분야는 기 법에 관계없이 제조업이 가장 많았으며, OWAS 및 RULA 는 헬스케어 및 사회복지 활동이 다음으로 많았다. REBA 는 농수산 및 임업이 두 번째로 많았고, 헬스케어 및 사회 복지 활동이 세 번째를 차지하였다. 종합하면 세 기법 모 두 제조업, 헬스케어 및 사회복지 활동, 농수산 및 임업에 적용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로는 미국, 인도, 브라질, 영국 등이 세 기법을 이 용한 자세 부하 평가에 대한 연구가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 다. 이란(21편), 말레이시아(17편), 포르투갈(15편)은 RULA의 적용이 많았다. 우리나라의 경우 OWAS 관련 논 문 3편, RULA 7편, REBA 5편이 있었다.
 세 기법의 평가 결과는 많은 연구들에서 OWAS 및 REBA에 비하여 RULA가 자세 부하를 높게 평가하는 것 으로 보고되었다. 안전에서 최악의 경우를 대비하여 대책 을 세우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알려져 있어, RULA가 하지 자세 분류에 한계가 있음에도 이러한 관점에서 세 기 법 중 RULA 사용이 권장된다 하겠다. 이는 Kee and Karwowski(2007)의 연구에서 산업, 작업 형태, 하지 자 세의 불안정성에 관계없이 RULA가 자세 부하를 높게 평 가하였고[8], 기존 연구에서 다양한 다리 자세를 요구하는 농수산 및 임업, 건간 및 사회 복지 활동, 건설 등의 분야에 도 RULA가 활발히 적용되고 있는 점[14으로 뒷받침된 다. 따라서 OWAS는 중량물 취급 작업, RULA는 상지 자 세, 그리고 REBA는 불안정한 자세 분석에 적절하다는 주 장은 근거가 약하다 할 수 있다. 또한, 기법들이 각기 장단 점이 있어 두 가지 이상의 기법을 적용하는 경우도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15, 16].
 기법 간 평가 결과 일치도(신뢰도)는 Chiasson et al.(2012)에서 RULA와 REBA 간 일치도가 73.7%로 높 은 점을 제외하고는[13], 다른 연구에서는 60% 이하의 낮 은 일치도를 보였다. REBA에 대한 평가자 내 및 평가자 간 신뢰도는 높거나 중간 정도 이상을 보였다. OWAS, RULA에 대한 신뢰성 연구는 찾을 수 없어, 추후 이에 대 한 연구가 요망된다. 

Figure

Table

Reference

  1. [1] A. Burdorf(2010), “The role of assessment of biomechanical exposure at the workplace in the prevention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Scandinavian Journal of Work, Environment&Health, 36(1):1-2.
  2. [2] A. H. Schwartz, T. J. Albin, S. G. Gerberich(2019), “Intra-rater and inter-rater reliability of the rapid entire body assessment (REBA) tool.”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rgonomics, 71:111-116.
  3. [3] A. Hussain, K. Case, R. Marshall, S. Summerskill (2016), “Using ergonomic risk assessment methods for designing inclusive work practices: A case study.” Human Factors and Ergonomics in Manufacturing & Service Industries, 26(3):337-355.
  4. [4] B. Silverstein, R. Clark(2004), “Interventions to reduce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Journal of Electromyography and Kinesiology, 14(1):135-152.
  5. [5] C. M. Lind, M. Forsman, L. M. Rose(2019),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RAMP I-a practitioner’s tool for screening of musculoskeletal disorder risk factors in manual handling.” International Journal of Occupational Safety Ergonomics, 25(5):165-180.
  6. [6] C. M. Lind, M. Forsman, L. M. Rose(2020),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RAMP II-a practitioner’s tool for assessing musculoskeletal disorder risk factors in industrial manual handling.” Ergonomics, 63(4):477-504.
  7. [7] D. Kee, W. Karwowski(2001), “LUBA: An assessment technique for postural loading on the upper body based on joint motion discomfort and maximum holding time.” Applied Ergonomics, 32:357-366.
  8. [8] D. Kee, W. Karwowski(2007), “A comparison of three observational techniques for assessing postural loads in industry.” International Journal of Occupational Safety and Ergonomics, 13(1):3-14.
  9. [9] G. C. David(2005), “Ergonomic methods for assessing exposure to risk factors for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Occupational Medicine, 55:190-199.
  10. [10] H. Noh, H. Roh(2013), “Approach of industrial physical therapy to assessment of the musculoskeletal system and ergonomic risk factors of the dental hygienist.” The Journal of Physical Therapy Science, 25:821–826.
  11. [11] K. Enez, S. S. Nalbantoğlu(2019), “Comparison of ergonomic risk assessment outputs from OWAS and REBA in forestry timber harvesting.”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rgonomics, 70:51-57.
  12. [12] L. McAtamney, E. N. Corlett(1993), “RULA: A survey method for the investigation of work-related upper limb disorders.” Applied Ergonomics, 24(2):91-99.
  13. [13] M. È. Chiasson, D. Imbeau, K. Aubry, A. Delisle(2012), “Comparing the results of eight methods used to evaluate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musculoskeletal disorders.”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rgonomics, 42:478-488.
  14. [14] M. Gómez-Galán, á. J. Callejón-Ferre, J. Pérez-Alonso, M. Díaz-Pérez, J. A. Carrillo-Castrillo (2020), “Musculoskeletal risks: RULA bibliometric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17(12):4354.
  15. [15] M. Gómez-Galán, J. Pérez-Alonso, á. J. Callejón-Ferre, J. López-Martínez(2017), “Musculoskeletal disorders: OWAS review.” Industrial Health, 55:314-337.
  16. [16] M. Hita-Gutiérrez, M. Gómez-Galán, M. Díaz-Pérez, á. J. Callejón-Ferre(2020), “An overview of REBA method applications in the world.”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17(8):2635.
  17. [17] M. Joshi, V. Deshpande(2019), “A systematic review of comparative studies on ergonomic assessment techniques.”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rgonomics, 74:1-14.
  18. [18]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2019, 2020), Industrial accident analysis.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Sejong.
  19. [19] O. Karhu, P. Kansi, I. Kuorinka(1977), “Correcting working postures in industry: A practical method for analysis.” Applied Ergonomics, 8(4):199-201.
  20. [20] P. Mukhopadhyay, A. Khan(2015), “The evaluation of ergonomic risk factors among meat cutters working in Jabalpur, India.” International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ealth, 21(3):192-198.
  21. [21] P. Wintachai, N. Charoenchai(2012), “The comparison of ergonomics postures assessment methods in rubber sheet production.”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Thailand.
  22. [22] S. Hignett, L. McAtamney(2000), “Rapid Entire Body Assessment(REBA).” Applied Ergonomics, 31:201-205.
  23. [23] S. Sahu, S. Moitra, S. Maity(2013), “A comparative ergonomics postural assessment of potters and sculptors in the unorganized sector in West Bengal, India.” International Journal of Occupational Safety and Ergonomics, 19(3):455–462.
  24. [24] U. O. Saliha, H. H. Acar, A. Kaya(2017), “Determination of work postures with different ergonomic risk assessment methods in forest nurseries.” Fresenius Environmental Bulletin, 26(12):7362-7371.
  25. [25] Upasana, D. Vinay(2017), “Work posture assessment of tailors by RULA and REBA analysi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nvironment, 6(4):2469-2474.
  26. [26] V. Kulkarni, R. Devalkar(2018), “Postural analysis of building construction workers using ergonomics.” International Journal of Construction Management, 19(6):1–8.
  27. [27] V. Z. Priel(1974), “A numerical definition of posture.” Human Factors, 16:576-584.
  28. [28] Y. K. Kong, S. Y. Lee, K. S. Lee, D. M. Kim(2017), “Comparisons of ergonomic evaluation tools (ALLA, RULA, REBA and OWAS) for farm work.” International Journal of Occupational Safety and Ergonomics, 24(2):218-223.
  1. SEARCH
  2. Online Submission

    http://submission.koreasafety.or.kr

  3. KSSM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ManagementWaste Society

  4. Editorial Office
    Contact Information

    - Tel: +82.31.336.2844
    - Fax: +82.31.336.2845
    - E-mail: safety@mju.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