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6783(Print)
ISSN : 2288-1484(Online)
Journal of the Korea Safety Management & Science Vol.23 No.2 pp.65-77
DOI : http://dx.doi.org/10.12812/ksms.2021.23.2.065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the Purchase Intention of Automobiles

Young-Ju Bae*
*Dept. of Industrial and Management Engineering,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Corresponding Author : Young-Ju Ba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50 Daehak-ro, Chungju-si, Chungbuk Korea. Dept. of Industrial and management Engineering, E-mail: yjbae@ut.ac.kr
April 6, 2021 June 22, 2021 June 22, 2021

Abstract

This paper conducted an empirical study to identify the causal relationship of factors affecting the purchase intention of automobiles from the customer’s point of view. This study sets the purchase intention as a result variable and constructs a causal model with brand image, product attributes (exdogenous variable), and customer value (endogenous variable) as a cause that affects purchase inten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ymbolic image of the brand was found to have a very significant effect on customer value (p=0.01), and the external attribute of the product also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ustomer value (p=0.1). Second, customer value was found to have a very significant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p=0.01), and the functional image of the brand also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p=0.1). Third, there is a strong positive (+) correlation between the functional image of the brand and the symbolic image of the brand, the intrinsic attribute of the product, and the external attribute of the product, and also between the symbolic image of the brand and the intrinsic attribute of the product and There was also a positive (+) correlation between extrinsic attributes.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customer value, automobile manufacturing companies have a functional value of products from a customer-oriented perspective. It is judged that every effort should be made to maintain a lasting relationship by grasping the values of customers, which are social values, emotional values, situational values, and cognitive values.

자동차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배영주*
*한국교통대학교 산업경영공학과

초록


1. 서 론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정보통신기술(ICT), 사물인 터넷(IoT), 5세대 이동통신과 같은 기술을 중심으로 전통 개념의 이업종 산업 간 경계가 무너지고 있다. 최근 자동 차 분야에서는 친환경을 위한 전기자동차와 수소차, 그리 고 차량용 인포테인먼트와 자율주행 자동차까지 앞으로 수많은 기술의 진화가 진행 중에 있다. 자동차의 기능에 초점이 맞춰져 있던 과거와는 달리 최근에는 자동차의 디 자인, 높은 성능, 다양한 기능, 제조사의 브랜드이미지 등 다양한 기준으로 차량을 선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자동차 제조사들은 까다로워진 고객들의 니즈를 파악하여 구매를 촉진시키기 위해 모든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다양한 소비자들의 선택의 폭을 고려하 여 자동차 구매의도에 미치는 요인 의 인과관계를 규명하 기 위해 자동차를 구매한 소비자와 구매 의도를 가진 잠재 적 소비자를 대상으로 자동차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요인 에 관한 실증적인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2. 이론적 배경

 대부분의 연구들이 구매 의도 인과 모형 연구에서 브랜 드 이미지와 구매의도와의 관계(태원규(2000)), 제품속 성과 구매의도와의 관계(김기백(2006)), 브랜드이미지, 제품속성이 구매의도에 영향을 주는 연구를 수행하였지만 (김동균(2009)), 본 연구는 구매의도를 결과변수로 설정 하고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으로 브랜드이미지와 제품속성(외생변수(exogenous variable)), 소비자의 지 각된 구매 동기의 가치로 인간의 구매 행동에 영향을 미치 는 고객가치(내생변수(endogenous variable))로 인과 모형을 구성하여 자동차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요인에 관 한 실증적인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2.1 브랜드이미지

 태원규(1999)와 최혁승(2005)은 브랜드이미지를 기 능적 이미지와 상징적 이미지로 분류하였다. 기능적 이미 지는 소비자가 특정 상품을 사용하게 될 때 지각하는 물리 적 특성으로부터 받는 심리적 심상을 말하며, 상징적 이미 지는 상품이 그 사용자를 통해 나타나는 상징적인 특성으 로부터 받는 사회적 욕구, 자아개념을 말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기능적 이미지로 성능, 외양, 안정성, 승차 감, 고장 여부, A/S, 운전의 편리성, 내구성, 가격 등의 9 가지 항목을 측정하며, 상징적 이미지로 신뢰적, 지적, 성 공적, 겸손, 정직, 쾌활, 품격, 매력적, 생동감, 현대적, 강 인함 등 11가지 항목을 측정 할 수 있도록 설계하여 연구 를 수행하였다.
 

2.2 제품 속성

 제품 속성은 Kotler(1997)의 제품 정의를 기반으로 Olson(2003)은 내재적인 속성과 외재적인 속성으로 분 류하였다. 내재적인 속성은 제품 자체의 물리적 특성으로 자동차의 색상이나 크기, 스타일 및 연료효율 그 외 여러 가지 기능들을 말하며, 외재적인 속성은 이 외 제품에 따라붙는 정보로 브랜드명, 원산지명, 품질보증기간, 제품이 팔리는 소매점명, 광고수준, 광고모델, 가격수준 등을 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내재적인 속성으로 제동능력, 안정성, 안 전장치, 외관디자인, 내장디자인, 라인업, 색상, 운행 시 추 진력, 가속력, 핸들링, 최첨단 기술, 편의시설, 실내공간의 넓음, 경제성 등 13개의 항목을 측정하며, 외재적인 속성 에는 브랜드명, A/S, 기업이미지, 신뢰성, 광고기억, 광고 수준, 가격수준, 할부 및 판매조건, 품질보증기간 등 9개 항목을 측정 할 수 있도록 설계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2.3 고객가치

 고객가치란 고객이 특정 제품이나 서비스로부터 기대 하는 여러 가지 혜택과 고객이 지불하게 될 총비용 사이의 차이로 정의하고 있다. 또한, Sheth, Newman, and Gross(1991)는 고객가치를 다음과 같은 다섯 개의 차원 으로 구분하고 있다. 첫째, 제품의 품질, 기능 가격, 서비스 등과 같은 실용성 또는 물리적 기능과 관련된 기능적 가치. 둘째, 제품을 소비하는 사회계층 집단과 관련된 사회 적 가치. 셋째, 제품의 소비에 의해 긍정적 또는 부정적 감정 등의 유발과 관련된 정서적 가치. 넷째, 제품소비의 특정한 상황과 관련된 상황적 가치. 다섯째, 제품소비를 자극하는 새로움, 호기심 등과 관련된 인식적 가치들로 구 분하고 있다. 이상의 다섯 가지 가치가 제품 구매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객가치로 제품의 인지도, 다양한 기능, 만족도, 선호도, 제품가치 등 5개 항목을 측정할 수 있도록 설계하여 연구 를 수행하였다.
 

2.4 구매 의도

 김성철(2008)의 연구에 의하면 구매의도란 소비자가 상품을 구매하려는 의도로써 어떤 특정 행동에 대한 개인 이 보여주는 생각이나 계획을 의미한다. 또한 최혁승 (2006)의 연구에 의하면 추천의사도 구매의도의 요인으 로 제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구매의도를 구매할 의향, 추천 의사, 충성도 등 3개 항목을 측정할 수 있도록 설계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3. 연구모형 및 연구가설 설정

3.1 연구모형의 설정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가 자동차를 구매하고자 할 때 구 매의도에 미치는 요인으로 제품속성, 브랜드이미지, 고객 가치가 구매의도에 영향을 주는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구 매의도를 결과변수로 설정하고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으로 브랜드이미지, 제품속성(외생변수(exogenous variable))와 소비자의 지각된 구매 동기의 가치로 인 간의 구매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고객가치(내생변수 (endogenous variable))로 아래 [Figure 1]과 같은 연 구모형을 설정하였다.
 
 

3.2 연구가설의 설정

 [Figure 1]의 연구모형에 따라 연구가설을 다음과 같 이 설정하였다.
 
 <가설 H1> : 브랜드이미지는 고객가치에 정(+)의 영 향을 미칠 것이다.
 H1-1 : 브랜드의 기능적 이미지는 고객가치에 정(+) 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1-2 : 브랜드의 상징적 이미지는 고객가치에 정(+) 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H2> : 제품의 속성은 고객가치에 정(+)의 영향 을 미칠 것이다.
 H2-1 : 제품의 내재적 속성은 고객가치에 정(+)의 영 향을 미칠 것이다.
 H2-2 : 제품의 외재적 속성은 고객가치에 정(+)의 영 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H3> : 고객가치는 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H4> : 브랜드이미지는 구매의도에 정(+)의 영 향을 미칠 것이다.
 H4-1 : 브랜드의 기능적 이미지는 구매의도에 정(+) 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4-2 : 브랜드의 상징적 이미지는 구매의도에 정(+) 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H5> : 제품의 속성은 구매의도에 정(+)의 영향 을 미칠 것이다.
 H5-1 : 제품의 내재적 속성은 구매의도에 정(+)의 영 향을 미칠 것이다.
 H5-2 : 제품의 외재적 속성은 구매의도에 정(+)의 영 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H6> : 각각의 브랜드의 기능적, 상징적 이미지와 제품의 내재적, 외재적 속성 간에 정 (+)의 상관관계를 가질 것이다.
 H6-1 : 브랜드의 기능적 이미지와 브랜드의 상징적 이 미지 간에 정(+)의 상관관계를 가질 것이다.
 H6-2 : 브랜드의 기능적 이미지와 제품의 내재적 속성 간에 정(+)의 상관관계를 가질 것이다.
 H6-3 : 브랜드의 기능적 이미지와 제품의 외재적 속성 간에 정(+)의 상관관계를 가질 것이다.
 H6-4 : 브랜드의 상징적 이미지와 제품의 내재적 속성 간에 정(+)의 상관관계를 가질 것 이다.
 H6-5 : 브랜드의 상징적 이미지와 제품의 외재적 속성 간에 정(+)의 상관관계를 가질 것이다.
 H6-6 : 제품의 내재적 속성과 제품의 외재적 속성 간 에 정(+)의 상관관계를 가질 것이다.
 

4. 실증분석

4.1 자료수집 및 분석 방법

 연구 수행에 필요한 자료를 수집하기 위하여 자동차를 구매한 소비자와 구매 의도를 가진 잠재적 소비자를 대상 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276부 중 유효하지 않은 32부를 제외한 244부를 가지고 분석하였다. 타당성 검증 을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요인분석을 통해 축약 된 요인들을 대상으로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요 인들의 인과 관계 규명을 위해 구조방정식모형을 가지고 분석하였으며, 통계패키지인 IBM SPSS 24와 구조방정 식 분석패키지인 IBM AMOS 21을 이용하였다.
 

4.2 측정변수의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

4.2.1 요인분석

 각 측정변수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브랜드의 기 능적 이미지와 상징적 이미지, 제품의 내재적 속성과 외재 적 속성, 고객가치를 대상으로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요인분석의 기본 원리는 항목들 간의 상관관계가 높은 것끼 리 하나의 요인으로 묶어 각 요인들 간의 독립성을 유지하 도록 함으로써 요인들 간에 상관관계가 서로 상이한 개념 으로 보도록 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요인의 수를 최소화하고 정보의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주성분분석 방식을 이용하였고, 회전방 식으로는 간명하고 요인 간 명확한 해석을 추구하기 위하여 베리맥스(Varimax)방식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각 변수와 요인간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주는 요인적재량의 값 이 0.5이상인 경우 중요한 변수로 판단하였다.
 
4.2.1.1 브랜드이미지에 관한 요인분석
 브랜드이미지의 기능적 이미지와 상징적 이미지의 특성을 측정하는 요인인 20개 측정항목에 대한 분석결 과는 다음 <Table 1>과 같다.
 분석결과, 기능적 이미지에서는 F1, F2, F3, F5, F6, F7 총 6개의 요인이 추출되었고 상징적 이미지에 서는 S1, S2, S3, S7, S10, S11 총 6개의 요인이 추 출되었다.
 
4.2.1.2 제품속성에 관한 요인분석
 제품속성의 내재적 속성과 외재적 속성의 특성을 측 정하는 요인인 22개 측정항목에 대한 분석결과는 다음 <Table 2>와 같다.
 분석결과, 내재적속성에서는 I1, I2, I3, I4, I5, I7, I8, I9, I10, I11, I12 총 11개의 요인이 추출되었고 외재적속성에서는 E7, E8, E9 총 3개의 요인이 추출 되었다.
 
4.2.1.3 고객가치에 관한 요인분석
 고객가치의 특성을 측정하는 요인인 4개 측정항목에 대한 분석결과는 다음 <Table 3>과 같다.
 분석결과, 고객가치에서는 C1, C2, C3, C4, C5 개 의 요인 모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4.2.2 신뢰도 분석

 신뢰도 분석은 연구자가 측정하고자 하는 대상을 얼마나 정확하고 일관성 있게 측정하였는가를 분석하는 방법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사회과학분야 연구에서 수 용 가능한 신뢰도 수준(Cronbach’s α)은 0.6 이상이다. 각 요인별 신뢰도 수치는 <Table 4>와 같다.
 
 분석결과, 모든 요인의 수치가 기준치 이상으로 나타 나고 있어 신뢰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3 구조방정식모형 검증 및 가설 검증

4.3.1 구조방정식모형의 의의와 특성

 구조방정식모형이란 측정모형과 구조모형을 통해 여러 잠재변수들 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하기 위한 모형을 말한 다. 즉, 경로분석과는 달리 직접적인 측정이 불가능한 잠 재변수를 측정변수들을 이용해서 간접적으로 측정한 다음, 이들 잠재변수들 간의 이론적인 인과관계를 분석하기 위해서 개발된 통계적인 방법이다.
 구조방정식모형은 구조모형에서 사용되는 잠재변수들 은 별도의 측정변수들을 이용해서 측정해야하기 때문에 측정오차의 존재를 허용한다. 또한, 이들 측정오차 및 잔 차들 간에 서로 연관되어 적지 않은 상관관계가 발생할 수 있으며, 더욱이 순환적 모형뿐만 아니라 변수들 간에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상호작용적 모형도 허용한다. 경로계수 를 추정하는 방법이 경로분석모형과 구조방정식 모형간의 가장 큰 차이점이 된다.
 일반적인 구조방정식모형을 분석하는 프로그램에는 LISREL과 AMOS 등이 개발되어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AMO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4.3.2 구조방정식모형 검증

 모형의 전반적 적합도를 평가하는 적합도 판단 지수에 는 절대적합지수, 제안모형이 기초모형에 비해 어느 정도 향상 되었는가를 평가하는 증분적합지수, 모형의 간명도 를 평가하는 간명적합지수를 이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CMIN(p), 상대적 카이스퀘어(CMIN/DF), 기초부합지수 (GFI), 수정된 기초부합지수(AGFI), 평균잔차제곱(RMR), 표준합치도지수(NFI), 표준적합지수(RMSEA)을 중심 으로 모형의 적합도를 평가하였고 사용된 모형적합도의 판단지수는 <Table 5>와 같다.
 
4.3.2.1 초기 구조방정식모형의 적합도 검증
 아래 [Figure 2]는 본 연구 분석을 위해 설정된 초기 구조방정식 모형이다.
 초기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수치는 <Table 6>과 같다.
 <Table 6>의 적합도 검증결과는 요인분석과 신뢰도분 석을 수행하지 않은 최초모형에 대한 적합도 평가로 RMR, NFI의 값을 가지고 판단할 때 적합하나, CMIN/DF, GFI, AGFI, RMSEA의 값은 적합 수용수준을 충족하지 못하여 부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4.3.2.2 요인분석 후 구조방정식모형의 적합도 검증
 아래 [Figure 3]은 요인분석과 신뢰도분석으로 타당성 이 검증된 변수들로 구성된 구조방정식 모형이다.
 위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값은 <Table 7>과 같다.
 
 
 검증결과 CMIN/DF의 값이 3보다 작으므로 적합한 모 형으로 판단된다. 또한 RMR, NFI, RMSEA값도 수용수 준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나, GFI와 AGFI 값이 수용수 준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모형의 수정을 통해 적합도를 향상시키기 위하 여 측정변수에 대한 다중상관치(SMC) 값이 0.4 미만인 내12를 제거하였으며, 측정모형의 표준화회귀계수의 결 과 값이 0.7 미만인 기3, 기5, 상1을 제거하였고, 측정변 수의 항목이 최소 3개 이상 남도록 하기 위해 내7은 제거 하지 않았다. 모형의 적합도를 높일 수 있는 가능성을 나 타내는 지수인 M,I는 기본값이 4이므로 값이 가장 크게 정(+)의 큰 모수변화를 가져오는 것부터 한 번에 하나씩 측정오차항 간(e11과 e10, e5와 e4, e3과 e2, e43과 e44, e28과 e29) 공분산을 상관으로 연결하여 구조방정 식의 적합도 평가기준 6개 지수 값이 수용수준에 도달 할 때까지 탐색 작업을 수행하여 최종 구조방정식모형을 도 출하였다.
 
4.3.2.3 최종 구조방정식모형의 적합도 검증
 아래 [Figure 4]는 변수 제거와 수정지수를 이용해 도 출된 최종 구조방정식 모형이다.
 위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값은 <Table 8>과 같다.
 (적합성에 대한 측정지표들에 대한 통계적 분포가 알려 져 있지 않기 때문에 이들 중에 어느 것이 더 적합한 지표 가 되는지에 대해서는 명확한 기준을 가지고 판단하기 어 렵다는 점을 유의해야 함)
 위의 모형에서 CMIN 값은 791.850으로 이전 모형의 값보다 감소되어 적합영역으로 이동하였으며, CMIN/DF 의 값도 3보다 작으므로 적합한 모형으로 판단된다. 또한 GFI와 AGFI는 우수한 수준은 아니지만 이전보다 많이 향 상되어 수용 가능한 수준이며, NFI와 RMSEA지수 값은 우수한 수준이며, RMR도 우수한 수치에 근접하여 6개 적 합도의 수용수준을 충족하는 최종 모형을 도출 하였다.
 따라서 위의 결과를 토대로 적합성이 검증된 최종 모형 을 사용하여 본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였다.
 
 

4.3.3 연구가설의 검증

 아래의 <Table 9>부터 <Table 15>는 최종 구조방정 식 모형을 통해 도출한 가설 검정 결과이다.
 
 
 
 위의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브랜드 의 상징적 이미지는 고객가치에 매우 유의한 영향을 (p=0.01)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제품의 외재적 속성 도 고객가치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p=0.1) 나타났다. 둘째, 고객가치는 구매의도에 매우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p=0.01), 브랜드의 기능적 이미 지도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p=0.1) 나 타났다. 셋째, 브랜드의 기능적 이미지와 브랜드의 상징적 이미지, 제품의 내재적 속성, 제품의 외재적 속성 간에 강 한 정(+)의 상관관계를 가지며 또한 브랜드의 상징적 이 미지와 제품의 내재적 속성 사이와 제품의 내재적 속성과 외재적 속성 간에도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5. 결 론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정보통신기술(ICT), 사물인 터넷(IoT), 5세대 이동통신과 같은 기술을 중심으로 전통 개념의 이업종 산업 간 경계가 무너지고 있다. 최근 자동 차 분야에서는 친환경을 위한 전기자동차와 수소차, 그리 고 차량용 인포테인먼트와 자율주행 자동차까지 앞으로 수많은 기술의 진화가 진행 중에 있다. 자동차의 기능에 초점이 맞춰져 있던 과거와는 달리 최근에는 자동차의 디자인, 높은 성능, 다양한 기능, 제조사의 브랜드이미지 등 다양한 기준으로 차량을 선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자동차 제조사들은 까다로워진 고객들의 니즈를 파악하여 구매를 촉진시키기 위해 모든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본 논문은 고객들의 관점에서 자동차의 구매의도에 미 치는 요인의 인과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실증적인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를 위해 자동차를 구매한 소비 자와 구매 의도를 가진 잠재적 소비자를 대상으로 설문조 사를 실시했으며, 총 276개의 설문지 중 불성실 응답 32 부를 제외한 244부를 가지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구매의도를 결과변수로 설정하고 구매의도 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으로 브랜드이미지와 제품속성 (외생변수(exdogenous variable)), 고객가치(내생변수 (endogenous variable))로 인과모형을 구성하여 분석 하였다. 또한 브랜드이미지는 기능적 이미지와, 상징적 이미지로 분류하였고 제품속성은 내재적, 외재적 속성 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설정된 가설관계들을 검증 하기 위해 IBM SPSS 24 통계패키지를 사용한 후 AMOS 21을 사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인과관계 (causal relationship)를 분석하였다. 첫째, 측정변수들 의 단일 차원성을 검정하기 위하여 SPSS를 사용하여 각 측정변수들을 대상으로 요인분석을 실시한 후 추출된 요 인의 신뢰도 분석 결과 크론바 값이 0.6 이상으로 신뢰 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둘째, 연구모형의 적합성 검증을 위해 AMOS를 사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 도를 평가하였으나 대부분의 적합도 수치가 기준치를 충 족하지 못하였다. 적합도를 개선하기 위해 SMC 값이 0.4 미만인 값과 표준화회귀계수가 0.7 미만인 항목을 제거하 고, 최적의 적합모형을 탐색하기 위해 M.I 값이 가장 크고 정(+)의 큰 모수변화를 가져오는 것부터 한 번에 하나씩 순차적으로 측정오차항 간의 공분산을 상관으로 연결하여 적합도를 개선시키는 탐색 작업을 반복 하였다. CMIN 값 은 791.850으로 이전 모형의 값보다 감소되어 적합영역 으로 이동하였으며, CMIN/DF의 값도 3보다 작으므로 적 합한 모형으로 판단된다. 또한 GFI와 AGFI는 우수한 수 준은 아니지만 이전보다 많이 향상되어 수용 가능한 수준 이며, NFI와 RMSEA지수 값은 우수한 수준이며, RMR도 우수한 수치에 근접하여 6개 적합도 수용수준을 충족하는 적합모형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최종 구조방정식모형을 가지고 본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고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브랜드 의 상징적 이미지는 고객가치에 매우 유의한 영향을 (p=0.01)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제품의 외재적 속성 도 고객가치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p=0.1) 나타 났다. 둘째, 고객가치는 구매의도에 매우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p=0.01), 브랜드의 기능적 이미 지도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p=0.1) 나 타났다. 셋째, 브랜드의 기능적 이미지와 브랜드의 상징적 이미지, 제품의 내재적 속성, 제품의 외재적 속성 간에 강 한 정(+)의 상관관계를 가지며 또한 브랜드의 상징적 이 미지와 제품의 내재적 속성 사이와 제품의 내재적 속성과 외재적 속성 간에도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기존 연구에서는 브랜드이미지, 제품속성을 외생변수 로 하거나 브랜드이미지, 제품속성, 고객가치를 외생변수 로 하여 구매의도에 영향을 주는 연구를 수행하였지만, 본 연구는 구매의도를 결과변수로 설정하고 구매의도에 영향 을 미치는 원인으로 브랜드이미지와 제품속성(외생변수 (exdogenous variable)), 소비자의 지각된 구매 동기의 가치로 인간의 구매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고객가치(내생 변수(endogenous variable))로 인과모형을 구성하여 인 과관계의 실증적 연구를 다각화시켰다는 데에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따라서 자동차 제조 기업은 고객가치를 높 이기 위하여 고객 지향의 관점에서 제품의 기능적 가치. 사회적 가치, 정서적 가치, 상황적 가치, 인식적 가치인 고 객의 가치를 파악 하여 지속적인 관계 유지를 위한 모든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한정된 지역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가 이루어 진 점과 자동차 구매자 및 잠재적 구매자를 대표 할 수 있 는 표본 설계를 토대로 진행된 연구가 아니므로 연구결과 를 일반화하는 데는 무리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자동차의 차종, 시간의 변화에 따른 구매의도에 미치는 요인의 인과 관계는 다를 수 있으므로 추후 이에 대한 종단적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Figure

Table

Reference

  1. [1] D. G. Kim(2010), “A study on the influence of brand image and product attributes on purchase intention.” Master’s thesis, Gangnam University Graduate School.
  2. [2] J. Wu(2016),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Chinese consumers' intention to buy automobiles: Focusing on Beijing, Tianjin and Hebei Regions.” Master’ thesis, Graduate School of Daejin University.
  3. [3] K. S. Won(2018), “The effect of airline's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on brand image and purchasing intention by perceived price and service quality.” Doctoral dissertati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4. [4] Y. Lim(2016), “A study on the intention to purchase mid-low-price cosmetics according to the consumption value of female consumers in their 20s and 30s.”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Graduate School.
  5. [5] M. Yun(2007), “The influence of national image and brand image on consumers' purchasing intention: Focusing on Haier and Samsung.” Master’s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Graduate School.
  6. [6] E. H. Choi(2014), “A study on the impact of experience marketing in automobile showrooms on perceived quality,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Master’s thesis, Gyeonggi University Graduate School.
  7. [7] J. H. Heo(2012), “The influence of brand awareness, perceived service quality, and physical environment on consistency and purchase intention: Focusing on coffee shops.”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Sejong University.
  8. [8] K. L. Keller(1993), “Conceptualizing, measuring and managing customer-based brand equity.” Journal of Marketing, 57:1-22.
  9. [9] P. Kotler(1997), Marketing management: Analysis, planning, implementation and control (9th ed).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 Hall International, Inc.
  10. [10] J. C. Olson, P. A. Dover(1976, 1979), “Disconfirmation of consumer expectations through product trial.”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64(2):179-189.
  11. [11] P. Kotler, K. L. Keller(2006), Marketing management. 12e. Pearson Education.
  12. [12] J. N. Sheth, B. Newman, B. L. Gross(1991), “Why we buy what we buy: A theory of consumption value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22(2):159-170.
  1. SEARCH
  2. Online Submission

    http://submission.koreasafety.or.kr

  3. KSSM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ManagementWaste Society

  4. Editorial Office
    Contact Information

    - Tel: +82.31.336.2844
    - Fax: +82.31.336.2845
    - E-mail: safety@mju.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