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6783(Print)
ISSN : 2288-1484(Online)
Journal of the Korea Safety Management & Science Vol.22 No.4 pp.87-100
DOI : http://dx.doi.org/10.12812/ksms.2020.22.4.087

A Study on the Location Selection of North Korean Economic Development Zone Using AHP

Chul-Soo Park*
*Dept. of Business Adminstration, Halla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 Chul-Soo Park, 28 Halla university-gil, Wonju-si, Gangwon-do [26404], Dept of Business Administration,
E-mail: cspark@halla.ac.kr
September 28, 2020 November 23, 2020 November 23, 2020

Abstract

Economic Development Zone(EDZ) in the province is one of the foreign policy for economic development of North Korea. North Korea has promulgated 27 Economic Development Zones(5 EDZs as central level and 22 EDZs as provincial level) to promote economic growth through the expansion of external opening policy. EDZs of the provinces play an important role in North Korea’s national and regional economic growt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lect analytical criteria that can be quantified when considering the location conditions of North Korean economic development zones when domestic companies advance into North Korea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and derive the relative importance between the criteria. After that, based on this, we intend to quantify the evaluation of the location priority of the economic development zone. In this study, through AHP analysis results, when domestic companies enter North Korea, we derive the importance and preference of location selection factors when considering the location conditions of North Korean economic development zones. Taking into account the reality of North Korea when the Korean company entered the North economic development zone following location for evaluation. That is, logistics and transportation, industrial infrastructure, competitiveness, and management incentives. And 14 sub-factors were selected and AHP analysis was performed.

AHP를 활용한 북한 경제개발구의 산업 입지선정 분석에 관한 연구

박철수*
*한라대학교 경영학과

초록

[1] A. Frenkel(2012), “High-tech firms’ location considerations within the metropolitan regions and the impact of their development stages.” European Planning Studies, 20(2):231-255. [2] D. H. Cho, et al.(2002), Searching for North Korean economy development strategy. Korea Development Institute. [3] D. Kim(2012), A study of inter-Korean economic integration: A development strategy of North Korean economy. Korea Development Institute. [4] E. C. Leem(2006), “Comparison of legislation for revitalization of special economic zones in transition countries.” Unification Problem Research, 18(2), Institute of Peace Affairs. [5] E. M. Graham(2004), “An export processing zones attract FDI and its benefits? The experience from China.” International Economics and Economic Policy, 1:87-103. [6] FIAS(2008), Special economic zones: Performance, lessons learned, and implications for zone development. The multi-donor investment climate advisory service managed (FIAS) by the International Finance Corporation (IFC) and supported by the Multilateral Investment Guarantee Agency (MIGA) and the World Bank (IBRD), The World Bank. [7] G. H. Lee, et al.(2001), Inter-Korean industrial map for a unified Korea. National Federation of Businessmen. [8] H. A. Stafford(1974), The anatomy of the location decision: Content analysis of case studies. In Hamilton, F. E. I. (ed.), Spatial perspectives on industrial organization and decision making. New York. John Wiley & Sons. [9] H. G. Jung(2002), Shenzhen special economic zone development and operation policy. KDI North Korean Economy Review, Korea Development Institute. [10] J. Dunning(1979), “Explaining changing patterns of international production: In defense of the eclectic theory.” Oxford Bulletin of Economics and Statistics, 161(41):269-295. [11] J. H. Lee(2013), “A study on revitalization through analysis of general industrial complexes: Focusing on Busan, Ulsan, and Gyeongnam.” Master's thesis, Youngsan University. [12] J. Park(1997), The economic impacts of migration after unification. Seoul: Korea Development Institute. [13] J. R. Park, S. J. Ryu, D. G. Bok, I. C. Choi(2002), Successful promotion plan of special economic zone. CEO Information, Samsung Economic Research Institute. [14] J. T. Lee, D. I. Kim(2017), “Analysis of factors that determine industrial complex location.”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12):343-349. [15] K. C. Ryuk(2012), “Determinants industrial complex pre-sale research.”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16] K. Jayanthakumaran(2002), “An overview of export processing zones: Selected Asian countries.” University of Wollongong Department of Economics Working Paper Series, WP 02–03. [17] K. M. Yang(2011), “A study on the factor analysis of distribution center location selection using analytic hierarchy process.” Journal of the Korea Safety Management & Science, 13(2):129-135. [18] Law Firm Yulchon North Korea Team, Maeil Economy Small and Medium Business Department(2018), How can I succeed in investing in North Korea? Maekyung Media Group. [19] M. A. Badri(2007), “Dimensions of industrial location factors: Review and exploration.” Journal of Business and Public Affairs, 1(2):1-26. [20] M. J. Choi(2003), Conditions for success in SEZ, SEZ: Korea economic survival project. Samsung Economic Research Institute. [21] M. K. Kim(2018), “Quantitative location analysis of North Korean special economic zones and economic development zones.” KDB, 16. [22] R. Tyagi, C. Das(1995), “Manufacturer and warehouse selection for stable relationship in dynamic wholesaling and location problems.” International Journal of Physical Distribution and Logistics Management, 26(6). [23] S. J. Kim, J. H. Hong(2019),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Development potential and policy implications. Korea Institute for National Unification. [24] S. J. Lee, C. K. Kim, B. J. Lee, K. M. Lee, E. J. Bae(2013), Major development projects for the integrated Korean Peninsula.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25] S. J. Lee, W. B. Kim, Y. B. Kim, S. S. Lee(2004), Strategy for utilizing special economic zones in Northeast Asia in the age of cooperation.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26] S. K. Lee, et al.(2013), Deepening, expansion, and development strategy of the inter-Korean cooperation zone. KIET [27] S. K. Lee, S. J. Kim, G. J. Jung(2013), North Korea's potential for industrial development and tasks of South-North cooperation. KIET. [28] S. Maria(2010), “Special economic zones in Russia: A general look.” PECOB Business Report, Portal on Central Eastern and Balkan Europe. [29] S. Radelet(1999), “Manufactured exports, export platforms, and economic growth.” Harvard Institute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Continuing Assistance on Economic Reform II, Discussion Paper 43. [30] Samjung KPMG North Korea Business Support Center(2018), North Korean business entry strategy. Do and Book. [31] T. Curtis, S. Hill, C. Lin(2006), Special economic zones: chinese, russian, and latin american cases and the use of SEZs as an economic development tool. International Economic Development Program, Ford School of Public Policy, University of Michigan. [32] T. E. Kim, G. J. Goo(2007). “Determinants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Importance of government regulations.”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41(4):203-228. [33] T. Farole(2011), Special economic zones: What have we learned? The World Bank Economic Premise, Washington DC, No. 64. [34] T. L. Satty(1977), “A scaling method for priorities in hierarchical structures.” Journal of Mathematical Psychology, 15:57-68. [35] V. W. Choi, T. Y. Chung, D. H. Kim(2018), “A study on the location analysis of special economic zones in North Korea.” National Strategy, 24(3):61-85. [36] Y. G. Cho(2011), Comparative analysis and implications of special economic zones in Central Asian countries: Focusing on Kazakhstan, Uzbekistan, and Turkmenistan. KIEP.

1. 서 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사태와 함께 북한과 한반도는 대 내외적으로 커다란 도전을 맞고 있다. 남한은 과거의 고도 경제 성장기를 지나 저성장이 굳어지는 경제 환경의 변화 와 더불어 인구 고령화와 인구감소 현상이 가시화되면서 생산가능 인구 비중은 줄어들고 있다. 한편 북한은 지속적 인 대북제재로 인해 북한경제에 수출입 급감과 무역수지 악화, 산업 생산 둔화, 기술발전 둔화 등의 악영향을 미치 고 있으며, 국제사회 제재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19, 수 해 등으로 '3중고'에 직면하고 있다.
 2017년 문재인 정부가 전향적인 대북정책을 표방하며 남북관계가 크게 진전되리라는 기대가 팽배했다. 2018년 들어 세 차례에 걸쳐 남북정상회담이 개최되고 6월 싱가 포르에서 북미정상회담이 개최되자 기대는 현실화되는 듯 했다.
 하지만 2019년 2월 하노이에서 개최된 2차 북미정 상회담이 아무런 성과 없이 끝난 이후 교착상태가 계속되 면서 남북 간 경제협력 역시 한 발짝도 앞으로 나가지 못 하고 있다. 하지만 정치 및 경제체제가 상이한 남북이 현 상황에서 공동체를 실현 할 수 있는 길은 역사, 언어, 핏줄을 함께 한 같은 민족이라는 동질성을 바탕으로 경제적 이익을 공 유하는 ‘경제공동체’의 영역에서 찾는 것이 현실적인 방법이 될 것이다. 한국 경제는 현실적으로 산업 및 인구 구조 변화, 내수부진 등으로 한국경제의 잠재성장률이 지 속해서 하락하는 추세인바, 우리 경제 영역을 북한을 넘어 동북아와 유라시아로 확장하여 새로운 활로를 개척함으로 써 한계에 도달한 한국경제의 저성장 문제를 해소하고 남 북한 모두에게 평화와 경제적 이익을 가져다주는 중단기 적으로는 남북경제협력을 위한 ‘남북경제공동체’를 형 성하고, 장기적으로는 한반도의 통일을 위한 기초를 마련 해야 할 것이다.
 통일이 이루어질 경우 정치, 군사, 경제, 사회 등 다방면 에 걸쳐 많은 정책을 실시해야 하지만 무엇보다 남북한 간 의 극심한 소득 격차를 해소할 수 있도록 북한 지역 경제 를 발전시키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남북 경제 협력은 제 한적인 협력에서 전면적인 협력까지 다양한 유형과 수준 이 있다. 뿐만 아니라 남북경제 협력은 단계적으로 추진될 수도 있지만, 독일에서 보듯이 일정한 협력 후 급격하게 추진될 가능성도 크다.
 남북 경협을 한국 경제의 발전전략 차원에서 접근함으 로써 한국 경제의 대안적 발전모델을 모색하고, 한국경제 의 성장잠재력을 확충하고 사실상의 섬 국가 상태에서 탈 피하여 대륙과 해양을 연결하는 교량 국가로서의 지정학 적 성격을 복원하는 국가발전전략을 위해 무엇보다 남북 관계 개선과 경협 활성화를 통해 한국경제의 새로운 성장 동력을 창출해야 할 것이다. 남북경협은 민간기업이 주도하는 경협과 정부의 공공 인프라 투자라는 두 분야로 분류할 수 있다. 북한과의 남 북경협도 민간이 주도하는 경협이 중심이 되고 정부의 공 공투자가 이를 뒷받침하는 역할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국내 기업이 주도하는 경협은 기업의 수익성을 목표로 삼 는 비즈니스이므로 이를 위해서는 기업이 충분한 수익을 올릴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되어야 한다. 그러나 북한에서 좋은 비즈니스 환경이 형성되기까지는 갈 길이 멀어 보인 다. 미국과 UN의 대북제재 등 국내 기업들이 들어와 사업 할 수 있는 여건과 제도적 환경이 열악한 상태이다.
 한편 북한의 김정은 정권은 현재의 경제난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경제 발전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경제 개발구 정책은 대외경제 부문의 핵심으로 시장의 자율성 을 인정하는 사실상의 북한 대외개방 정책이다. 현재까지 북한은 27개의 경제개발구를 개발하고 해외투자 유치를 위해 적극적으로 홍보하고 있다. 따라서 남북경협의 진전 과 함께 우리 기업의 북한진출이 활발해질 것으로 예상된 다. 우리 기업의 북한진출은 북한 내 토지이용과 직접 연 관된다는 점에서 남북한 교역의 증가와 근본적으로 다른 점이 있다. 기업 및 산업의 배치와 같은 물리적 계획은 오 랜 기간에 걸쳐 국토 이용을 규정하게 되므로 현재의 물리 적 계획의 효율성에 따라 미래의 국토 이용의 효율성이 영 향을 받게 된다. 따라서 우리 기업의 북한진출 초기부터 합리적인 입지 선택이 이루어져야 통일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북한 경제통합의 진전에 따라 경제협력 재개에 대비하 고 북한 전 지역에 걸쳐 지정된 경제개발구의 개발을 위해 국내 기업이 북한에 진출할 경우 경제개발구 개발은 우선 순위를 정하기 위해 객관적인 분석이 필수적이다. 또한 북 한과 지속적인 대화와 경제적 협력을 할 수 정치적 환경과 제도적 환경을 개선해 나가는 한편 북한 진출 기업에 정부 차원에서 적절한 지원과 제도를 마련해 줄 필요가 있다.
 이런 필요성에 비해 민간기업의 북한과의 경협을 위한 기본 여건에 대한 선행연구는 절대적으로 부족한 것이 현 실이다. 남북경협 정책에 대한 선행연구 중 대부분은 북한 지역 기반시설 건설이나 경제개발구 같은 공공투자를 어 떻게 추진할 것인가에 초점을 맞히고 있다[27]. 북한 경 제와 남북경협의 발전 잠재력을 검토해 본 몇몇 연구가 있 었지만 이들 연구는 기본여건만 살펴보았을 뿐, 민간기업 의 비즈니스 환경이나 수익성에 대해 검토까지 하지는 못 했다[5][18]. 한편 2018년에 두 차례의 남북 정상회담이 열리는 등 남북관계 회복에 대한 기대가 커지자 민간기업 의 북한 사업 전망과 과제를 다룬 단행본들이 활발하게 발 간되고 있지만, 이들 연구는 대체로 남북경협의 장점과 잠 재력만 일방적으로 강조하고 있고, 문제점과 개선과제에 대한 비판적 검토는 결여하고 있다[29].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의 기업들이 남북경제 협력의 진 전에 따라 국내 기업이 북한에 진출할 경우 북한의 경제개 발구의 입지 조건 고려할 때 계량화할 수 있는 분석 기준 을 선정하고, 각 기준 간의 상대적 중요도를 도출한 뒤, 이를 바탕으로 경제개발구의 입지 우선순위 평가를 수치 화하고자 한다. 민간기업이 북한에서 비즈니스를 기회를 확보하고 경제적 수익을 올리기 위해 대북사업을 추진할 경우 북한의 입지적 특성 및 여건을 기반으로 산업입지의 잠재력, 지역별 산업 입지 여건, 교통 및 인프라 등을 고려 하는 대북사업 진출을 위한 입지선정 평가모델을 구축하 고 AHP 분석을 통해 북한진출 산업입지 선정 요인에 대 한 중요도 파악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1장은 서론으로 연구 의 배경과 목적을 기술하고, 2장 이론적 배경에서는 북한 경제개발구의 현황과 분석, 산업단지 및 경제특구의 입지 선정에 관한 이론적 고찰, 북한의 경제개발구와 산업입지 선정요인에 관한 선행연구를 기술하였다. 3장 연구의 범 위 및 방법에서는 연구모델 설계와 방법, 그리고 AHP 분 석기법과 절차를 소개하고 4장에서는 AHP 분석 결과를 통해 국내 기업이 북한에 진출할 경우 북한의 경제개발구 의 입지 조건 고려할 때 입지선정요인 중요도 및 선호도를 도출하고, 마지막 5장에서는 위의 분석을 바탕으로 결론 및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2. 이론적 배경

 

2.1 북한 경제개발구의 현황과 분석

  특수경제지대 정책은 여러 개발도상국에서 국외자본을 유치하기 위해 자주 사용되는 정책이다. 특수경제지대를 지칭하는 명칭도 자유무역지대, 자유경제구역, 특별기업 구역, 수출구역, 경제개발구 등 매우 다양하게 존재한다. 그중에서도 가장 많이 쓰이는 것은 ‘경제특구’인데, 중 국의 경제특구가 큰 성공을 거두면서 일반화된 것으로 본 다. 일반적으로 특수경제지대는 경제특구라고 지칭되나, 북한에서는 특수경제지대 안에 경제특구, 경제개발구 등 여러 가지 다른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김정일 시 대에는 경제특구, 김정은 시대에는 경제개발구라고 명명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경제개발구를 포괄개념으로 사 용할 것이다.
 북한은 김정일 시대 경제특구 정책의 실패를 교훈 삼아 김정은 정권은 경제개발구 정책 관련 법 제도를 정비하였 으며, 2013년 최고인민회의 제12기 7차 회의에서 경제개 발구 법을 채택하였다. 이 법에 기초하여 공업, 농업, 관광, 수출가공, 첨단기술구 등 사업 성격에 따라 5가지 유형으 로 구분하고, 관리소속에 따라 중앙급 개발구와 시도 개발 구 별로 총 27개 경제개발구를 지정하였다.
 북한 경제개발구 정책의 주된 목적은 외국자본의 유치 와 선진기술 도입을 통한 경제 발전이다. 김정일 시대 경 제특구는 기업의 자율성을 침해하였고, 지방행정기관의 전문성이 결여되어 투자자 및 입주기업의 의견 대변기구 가 부재하는 등 다양한 문제점으로 비전문성과 비효율성 이 존재하여 경제 발전을 목표로 다양한 대외경제 부문 법 제도 제정, 계속된 수정, 보완 작업을 실행하였다.
 북한의 경제개발구 법에 의하면 경제지구 투자 유치를 위해 투자기업에 대한 안전과 권리 보장은 물론 토지사용 료 면제, 50년 임대 보장 등 혜택 등을 명시하고 있다. 투 자가들이 기업 경영에 필요한 물자 등을 반입할 때 관세를 면제하고 외화와 이윤, 재산도 자유롭게 외부로 송금할 수 있다고 되어 있다. 북한 기반시설에 투자하는 기업에 대해 서는 토지 선택의 우선권을 주고 사용료도 면제하는 특혜 를 부여하기도 했다.
 북한 경제개발구 정책의 목표는 무엇보다 전 국토의 경 제개발구화 혹은 개발구의 전국적 확산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기존의 북한 외곽 5개 경제특구 개발을 통한 점(點) 개방에서 선(線) 개방 방식으로 개발지역을 확대한 것으 로 중국의 경제개발구 정책을 벤치마킹한 것으로 해석된 다. 이외에도 지방급 경제개발구의 경우, 지방정부 주도와 개별 기업소 참여로 개발을 허용함으로써 적극성과 자율 성을 부과했다는 평가이다.
 
 
 북한의 경제개발구 정책이 주목받는 이유는 기존 북한 의 대외개방 정책보다 속도나 규모 면에서 확대된 양상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첫째, 경제특구·개발구를 중앙 급, 지방급으로 이원화하고, 둘째, 지방급 경제개발구는 각 지방이 보유한 비교우위 요소를 토대로 특화된 경제개 발구들을 추진하고 있으며, 셋째, 경제개발구 지대 밖의 북한기업이 새로운 경제특구·경제개발구에 진출할 수 있 게 하고(「경제개발구법」 제20조), 지대 내의 외국 자본이 지대 밖의 북한 기업들과 연계될 수 있도록(「경제개발구 기업창설 규정」 제21조) 제도를 열어두었다. 나진 및 개 성공단에 진출한 기업들은 지대 밖 북한의 기업들과 위탁 가공 내지는 생산 공정의 분업체계를 구축할 수 없었다. 북한의 경제개발구의 주요 정책은 다음과 같다.
 

2.2 산업단지 및 경제특구의 입지선정에 관한 이론적 고찰

  산업단지와 경제특구의 입지선정 요인에 대한 국내・외 연구는 다양하다. 먼저 국외의 연구에는 Frenkel의 연구에 서는 경제적 요인을 입주 분양 요인, 기반시설, 원자재 접근 성 등과 산업의 직접도, 입주 환경 등을 통해 요인을 도출하 였다[1]. Badri는 문헌 고찰을 통해 도출한 205개 입지요 인 중에서 부동산 전문가집단의 검토를 거쳐 수송, 노동, 원자재, 시장, 산업용지, 산업인프라, 정부의 태도, 세금구 조, 기후, 커뮤니티 등 10개의 입지요인을 도출하였다[2]. Tyagi and Das는 입지 문제에 대한 구매 비용, 유통비용, 창고 운영비를 포함하는 총비용을 물류 단지가 입지 할 때 고려해야 하는 요인을 도출하였다[34]. Dunning은 수출 과 해외직접투자를 국제생산이라는 개념으로 포괄하여 기 업 특유의 우위 요인(Ownership Specific Advantages), 내부화 우위요인(Internalization Advantages), 입지상 의 우위 요인(Locational Advantage)로 구분하고 해외투 자의 우위요인을 제시하였다[6]. Stafford는 미국의 제조 업체 입지 결정에 직접 참여한 경험이 있는 임원들을 대상 으로 국가단위와 지역단위로 구분하여 14개 요인을 도출 하여 분석하였다[32].
 
 
 
 
 국내 연구에서는 양광모 연구에서는 물류센터의 입지 선정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업종별로 AHP모형을 이용하 여 분석하였다[17]. 선정요인에는 비용요인, 지리적 요 인, 교통요인, 인적 요인, 정책적 요인에 대하여 각 요인을 평가하여 계산된 중요도 벡터들의 값을 해당하는 기준들 의 중요도와 곱하여 총 중요도를 계산하였다. 김태은・구 교준은 정책변수(정부 규제, 세율, 무역 자유도, 지적재산 권, 투자승인 등 투자인센티브), 경제변수(소득수준, 경제 성장, 시장규모), 정치사회변수(민주주의, 법적 안정성, 부패, 노동비용과 우수인력, 정보기술 인프라)를 투자 결 정변수로 도출하여 분석하였다[33]. 이종희 연구에서는 일반산업단지의 실태 분석연구에서 입지 결정의 우선순위 를 위해 계층분석(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을 실시하였으며 연계성 및 접근성 등의 환경적 요인과 분 양가, 시장성, 지가 등의 경제적 요인, 원자재 조달, 집적화 등의 산업적 요소와 금융지원 및 인허가 등의 법률적 지원 등의 정책요인으로 구분하여 입주 결정 요인의 우선순위 를 분석하였다[13]. 이재탁, 김동일 연구에서는 입지 결 정요인을 기반시설의 안정화와 산업 자원의 접근도 그리 고 매개변수인 주거 근린환경요인 군의 세 가지 요인 군으 로 대별하여 산업입지 결정요인과의 관계 정도를 구조방정식 모델로 분석하였다[15]. 육근찬의 산업단지 분양 결 정요인 연구에서 단지 환경 변수로 가격경쟁력, 입지경쟁 력, 단지 쾌적성, 사업성 변수를 투입하였으며, 산업 환경 변수로 시장 접근성, 지역 성장성, 산업용지 수요, 기반시 설 정도를 주요 요인으로 도출하여 분석하였다[23].
 또한 산업 단지의 또 다른 형태로서 경제특구에 대한 다양한 개념과 유형의 연구들이 진행돼 오고 있다. 먼저 조영관 연구에서 경제특구는 “해당 국가의 전형적인 경제 법이 적용되는 지역보다 자유로운 활동이 지역”이라고 개 념화하였으며[22], 이상준 외 연구에서는 경제특구는 “일 정한 구역을 지정하여 그 구역 내에서 다른 지역과 달리 일정한 경제활동 부문에 대해 예외적인 조치를 허용해 주 는 특별 지역을 의미”한다고 정의하였다[26]. Farole는 경제특구의 개념에 ‘제한된 구역’과 ‘예외적인 조치’뿐만 아니라 ‘독립된 행정체계’에 대한 내용까지도 포함시켰 다[8]. 세계은행의 FIAS(Foreign Investment Advisory Service에서 경제개발구는 “① 지리적으로 범위가 정해 진 지정된 구역(Geographically delimited area, usually physically secured), ② 단일 행정 및 관리(Single management and administration), ③ 구역 내에 입주함 으로써 법적으로 부여되는 특혜(Eligibility for benefits based upon physical location within the zone), ④ 독 립된 관세 구역과 간소한 절차(Separate customs area and Streamlined procedures)” 등으로 구성된다고 하였 다. 이런 연구를 바탕으로 경제특구를 종합하여 정리해보 면 특별하게 지정된 구역으로 특수한 행정 및 관리와 법・ 제도적인 특혜, 독립된 절차 등을 바탕으로 국외자본을 유 치하는 지역이라고 정의 할 수 있다[9].
 

2.3 북한의 경제개발구와 산업입지 선정요인에 관한 선행연구

  북한이 경제개발구 설치의 목적은 경제발전, 주민 생활 향상 및 외국과의 경제교류 활성화 등이며, 이는 기업 유치 를 통한 관련 산업 육성과 개발구 및 배후지역 경제 활성화 에 우선순위를 두며, 북한도 분산하여 설치한 경제개발구를 신규 고용 창출, 지역별 산업기반 강화 및 전・후방 산업 육성을 위한 수단으로 활용하려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김 정은 시대의 경제개발구 정책은 대외개방전략의 중심으로 서 비핵화 진전 시 기존 경제특구 정책과 함께 북한의 경제 발전을 추동할 것으로 평가된다. 북한 경제개발구의 성공 요인을 제시한 다수의 연구가 진행됐다. 조동호 외 연구로 북한의 경제특구에서는 시장경제체제의 전면적이고 과감 한 도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4]. 그러면서 시장경제체 제의 주요 내용은 “북한 노동력의 직접 채용 및 해고, 자유로 운 임금조정, 성과급 도입, 송금 자유 및 세금감면, 자본주의 문화수용”이라고 제시하였다. 물론 이 같은 경제특구 정책 을 추진할 때 전제되는 상황은 “핵・미사일 문제의 해결을 조건으로 한 대외관계의 개선”과 “중장기적으로 정책의 방 향을 정확히 밝히는 효율적이고 신뢰성 있는 리더십”이라 고 봤다. 김석진의 연구에서는 과거에는 북한은 핵 문제가 해결되고 대외관계가 정상화되어야만 외국인투자 유치가 성공할 수 있었지만, 최근에 중국의 대표적 수출산업이 노 동집약적 제조업이었으나, 산업구조가 고도화 되고 있으며, 이러한 상황 속에서 중국이 북한 수출산업의 주요 판매시장 이 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24]. 그러한 측면에서도 북한 경제특구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세 가지 요건들이 충족 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첫 번째는 경영권과 재산권이 확실하게 보장되는 것이고, 두 번째는 전력, 용수, 도로, 통신 등 기반시설이 갖추어져야 한다는 것이며, 세번째는 관세 및 법인세 감면 등 세제상의 혜택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외에도 체제전환국과 북한 경제특구의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많은 연구가 있다[21], [22], [16], [3], [12], [14], [25], [11], [7], [31].
 아울러 북한의 경제개발구 입지 선정과 관련하여 오랫 동안 많은 연구가 있었다. 먼저 최막중 연구에서는 경제특 구 성공의 필요조건으로 ‘국제 기준(Global Standard)’을 그리고 충분조건으로 ‘개방과 경쟁의 사회적 의지’를 제시 하였다[19]. 전자의 경우 입지 조건(기반시설, 배후지 역), 경영환경(노사문제, 세제지원), 생활환경(기초주거 환경, 광역문화환경), 토지개발(개발방식 및 주체, 토지의 이용규제)을 제시하였고, 후자의 경우 지역과 국적 제약 의 신축성(국토, 수도권 정책) 등이 포함되었다. 이를 다 시 설명하면 파급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특구 내로 지역을 한정할 필요가 없으며, 유치 기업도 국내기업은 물 론 다국적기업의 개념으로 그 범위를 확대하는 등 정책적 인 지원이 뒤따라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경제특구가 성공적으로 추진되기 위해서는 “경제특구의 소비자・수요 자로서 외국기업이 요구하는 조건을 잘 파악하고(필요조 건),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게 해 생산자・공급자로서 사회 내부의 역량을 결집하는(충분조건) 두 가지 조건이 모두 충족”되어야 한다고 제시하였다. 이상준 외 연구에서는 경 제개발구 성공을 위한 조건을 제시하면서 제도적 조건(특 구 관련 법제 구축, 각종 규제의 철폐, 조세감면 혜택, 외 환・금융상의 혜택, 유연한 노동 규정), 물리적 조건(적절 한 인프라 구축, 물류체계 재정비, 원활한 유통환경 조성, 지리적으로 유리한 입지), 기타 조건(배후 경제 지역과의 연계성, 주변 접경국과의 상호 경합성, 정부의 행정 지원 과 역량 집중, 정부 정책 신뢰, 경제특구에 대한 국가적 차원의 공감대)을 제시했다[26].
 김석진은 7가지 기준에 따라 경제특구 모델이 두 가지로 나누어진다고 제시했는데[24], 이 중에서 경제특구의 성공요건 3가지 기준(개발사업자, 지리적 위치, 노동시장 존재)과 특구가 국가 경제 전체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결 정하는 요인 4가지 기준(입주기업, 국내경제와의 연계, 규 모, 경제활동 범위)을 제시하였다. 이석기 외 연구에서는 경제특구가 성공하기 위한 조건을 크게 기본조건, 핵심조 건, 부가조건 등 3가지 기준에 따라 분류하고, 이를 다시 세부적으로 15개 항목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앞의 문 헌에서 포함되지 않았던 ‘국가 위험(Country Risk)’에 대 한 항목은 기본조건으로 제시되었으며, 투자한 기업의 수 익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노동력 공급, 물류 여건, 3통(통행, 통관, 통신)의 보장, 인프라 여건, 법・제도적인 우대혜택이 핵심요건을 구성했다. 그리고 발전을 위한 부 가조건으로 행정관리, 노무관리, 경영 관련 규제, 업종, 국 내외 기업에 대한 대우, 상사분쟁제도, 생활 여건, 규모에 대한 결정 등이 꼽혔다[28].
 이외에도 북한의 산업 입지 선정을 위한 앞의 연구와 더불어 이규황 외 연구에서는 각 산업이 요구하는 입지요 인의 특성과 각 공업지구가 갖고 있는 입지 요인의 특성인 노동시장 관련정보: 지역별 비숙련노동, 숙련노동, 산업별 특성 관련정보: 천연자원의 지역분포, 기존의 산업분포, 운송비 관련정보: 지역별 철도 및 도로, 항만확충, 설비투 자비용: 지역별 전기 및 공업용수 공급원, 시장 관련정보: 지역별 시장규모에 기초하여 각 공업지대별로 각 산업의 입지적합도를 요인들이 각 산업별로 얼마나 중요하게 작 용하는지를 매우 중요, 중요, 중요치 않음으로 분류하였다 [10]. 김민관 연구에서는 북한은 핵문제가 해결되고 대외 관계가 정상화되어 외국인투자 유치가 성공할 수 있는 북 한 경제특구가 성공하기 위한 경영권, 재산권 보장, 전력, 용수, 도로, 통신 등 기반시설, 관세 및 법인세 감면 등 세 제상 혜택 세 가지 요건을 제시하였다[20]. 최천운 연구 에서는 산업입지 이론으로부터 도출한 입지변수를 토대로 북한지역의 현실을 고려하여 입지선정을 위한 요인으로 생산요소에는 노동력(인구수), 산업인프라에는 사회기반 시설(전력발전소와의 거리), 고속도로(고속도로와의 거 리), 철도(철도와의 거리), 투자인센티브에는 북중 국경 과의 거리, DMZ와의 거리, 산업연계성에는 주변도로(접 근성) 6개를 선정하여 점수화 하였다[35].
 

3.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1 연구 모델 설계와 방법 

 본 연구의 목적은 남북경제 협력의 진전에 따라 국내 기업들이 북한지역에 진출하고자 하면 북한의 경제개발구 의 입지 조건 고려하여 계량화할 수 있는 분석 기준을 선 정하고, 각 기준 간의 상대적 중요도를 도출한 뒤, 이를 바탕으로 경제개발구 입지의 우선순위를 평가하여 수치화 하고자 한다. 앞장의 제시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북한 경 제 개발구에 국내의 기업들이 진출할 경우 입지선정요인 에 관한 다양한 연구들이 존재하며, 다수의 연구에서 주요 변수들이 중복적으로 활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 구의 모델을 설계하기 위하여 선행연구와 북한 경제 분야 의 전문가들과 토론 그리고 북한의 현실을 고려하여 북한 경제개발구에 국내 기업이 진출 시 입지평가를 위한 물류 및 교통, 산업인프라, 경쟁력, 경영 인센티브 4가지 요인을 선정하였다. 이들 각각의 요인 및 세부내용은 다음의 <Table 4>와 같다.
 
 물류 및 교통 상위항목을 구성하는 하위요소는 철도 및 도로 근접성, 항만 용량 및 공항과의 거리, 국경과의 거리 3개로 구성되어 있다. 산업인프라 요소에는 전력 및 용수 용량, 3통 환경(통행, 통관, 통신), 사회기반 및 생활 여건 으로 구성되어 있다. 경쟁력 상위요소에는 노동력 공급, 산업단지의 면적 및 규모, 기존산업 및 자원의 분포, 개발 비로 구성되어 있다. 경영 인센티브에는 경영권 및 재산권 보장, 세제상 혜택, 법・제도상 혜택, 행정관리 및 규제로 되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선행연구와 북한 경제 분야의 전문가들 과 토론을 통하여 북한 경제개발구에 국내 기업이 진출할 경우 입지평가를 위해 <Table 5>에서 보이는 단계별로 평가항목을 도출하고 평가하였다.
 첫째, 문헌 연구를 통하여 산업단지 입지 평가 요인들을 파악한 후 북한 경제개발구 입지평가 요인들을 도출하였 다. 둘째, 예비조사에서는 북한경제 경제 전문가들과 토론 및 브레인스토밍과 북한의 현실을 고려한 입지평가 모델 을 도출하였다. 셋째, 예비조사에서 마련된 평가기준안을 바탕으로 역시 북한 경제전문가들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 여 평가하였다.
 
 

3.2 AHP 

 분석 본 연구에서는 북한 경제개발구에 국내 기업이 진출할 경 우 입지평가를 위해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기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AHP는 1970년대 초반 T. Saaty에 의하여 개발된 계층 분석적 의사결정 방법으로 의사결정이 계층구조를 구성하고 있는 요소 간의 쌍대비 교(Pairwise Comparison)에 의한 판단을 통하여 평가자 의 지식, 경험 및 직관을 포착하고자 하는 하나의 새로운 의사결정 방법론이다[30]. AHP는 여러 개의 속성을 분 류하여 쌍대 비교, 즉 절대평가가 아닌 상대평가를 통해 의사결정 과정에 참여하는 전문가들의 의사결정 판단자료 를 일정한 논리를 통하여 체계적으로 획득 및 분석 가능할 수 있게 해줌으로써 복잡한 의사결정 문제에 대해 상대적 우선순위를 할 수 있도록 해주어, 평가 결과를 간단한 방 법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법이다. 특히 AHP는 정략적 요소는 물론 정성적인 요소까지 고려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일관성 지수(CI: Consistency Index)가 0.2보다 작게 나오면 의사결정자의 논리적 일 관성을 인정할 수 있다고 보고 있으며, 0.1보다 작으면 의 사결정자의 논리적 일관성이 매우 높은 수준으로 판단한 다. AHP 분석 절차는 <Table 6>과 같다.
 
  
 북한 경제개발구에 국내 기업이 진출할 경우 입지평가 를 위해 상위 평가항목 4개, 하위평가항목 14개를 계층 구조화 하였으며, 쌍대비교에 의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 다. 북한경제 분야에 박사급 학계, 산업계 전문가 50명에 게 설문을 하여 27개가 회수된 응답을 대상으로 분석을 하였다. 연구에서는 AHP에서 주어지는 일관성 비율 (Consistency Ratio)이 0.1보다 큰 6개의 설문 응답지를 제외하고 결과 분석 평가하였다. 요약은 아래 <Table 7> 과 같다. 본 연구의 분석을 위하여 메이크잇(Make It) 윈 도우 버전(http://imakeit.kr/win/)을 사용하였다.
 
 

4. 분석 결과

 

4.1 기초통계분석 

 설문 응답자를 분석한 결과 응답설문지 총 27개 중 일 관성 지수가 0.1보다 큰 6개의 설문지를 제외하였다. 그리 고 설문지 21개의 응답자에 대한 분포 특성을 <Table 8> 에 나타내었다. 학계가 12명, 산업계가 9명 그리고 경력이 5년 이하가 9명 6년 이상이 12명으로 파악되었다.
 
 

4.2 AHP분석을 이용한 분한 입지 선정 요인 분석 결과 

 AHP 분석을 이용한 국내기업이 북한 경제개발구에 진 출할 경우 입지선정요인의 분석 결과 <Table 9>와 같이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상위요인의 중요도 중에서 경쟁력 요인이 0.314를 차지하여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다음으로 물류 및 교통요인이 0.268, 산업 인프라 요인이 0.213, 경영 인센티브 요인이 0.205% 순으로 물류 및 교통요인, 산업 인프라 요인, 경영 인센티브 요인에 비해 경쟁력 요인이 가장 중요한 요인이란 것을 보여주고 있다.
 
 
  AHP 분석을 이용한 국내기업이 북한 경제개발구에 진 출할 경우 입지선정요인의 분석 결과 세부적인 하위 결정 요인에 대한 중요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물류 및 교 통, 산업인프라, 경쟁력, 경영 인센티브 상위 요인 중에서 경쟁력 요인이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분석 되었다.
 첫 번째 경쟁력 요인 중에서는 북한의 노동력 공급 요인 이 0.385, 산업 입지 개발에 투입되는 개발비, 0.239, 산 업 입지의 면적 및 규모 0.197, 기존의 산업 및 자원의 분포가 0.185 순으로 중요한 요인으로 분석 되었다. 이는 북한의 임금수준이 상대적으로 저렴할 뿐만 아니라 노동 력 수준이 우수할 것으로 판단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북한의 노동력을 잘 활용할 수만 있다면 북한 진출을 통해 기업들이 경쟁력의 기회를 확보 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 다. 물론 북한의 임금 수준과 노동력의 질적 수준이 단순 히 기업들이 판단하고 있는 것처럼 양질이고 저렴한지는 따져보아야 할 일이다. 북한의 노동력을 활용하여 북한에 서 사업을 하기 위해서는 우선 외국인 투자기업을 대상으 로 북한이 제정한 노동 제도를 따라야 한다. 한국기업을 포함한 외국인투자기업이 준수해야 할 북한의 노동제도에는 외국인 투자기업 로동 규정 및 개성공업지구노동 규정 이 있다. 그러나 이들 노동 규정이 가지는 문제점도 많은 것으로 알려져 외국인의 북한 내 투자 활동을 제약하는 측 면도 있다.
 두 번째는 물류 및 교통요인이 중요 요인으로 분석되었 다. 이를 구성하는 하위요인은 철도 및 도로 근접성, 항만 용량 및 공항과의 거리, 국경과의 거리 요인이다. 여기서 는 철도 및 도로 근접성 요인은 0.425, 항만 용량 및 공항 과의 거리요인은 0.345, 국경과의 거리 요인은 0.228 순 으로 나타났다. 북한의 산업입지 관련 주요 기반시설로는 도로, 철도, 항만, 공항 등이 있다. 북한의 경우 화물수송의 90%, 여객수송 62%를 철도가 담당하고 있어 도로보다는 철도가 주요 수송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철도 수송 전체 의 75%가 전철화 구간이며, 전 노선의 98%가 단선으로 철도통신망 등 관련 시설은 크게 낙후되어 있는 편이다. 도로는 지역 내 연결수단으로서 보조적인 기능만을 수행 하고 있으며, 그 상태도 열악하다. 공항도 그 발전이 크게 뒤떨어져 있는 편이다. 북한 지역 산업입지 개발은 남북관 계의 개선과 교류 협력의 고도화에 따라 점진적・단계적으 로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북한 지역 산업 잠 재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도로수송 중심의 남한 교 통체계와 산업철도 위주의 북한 교통체계의 이질성을 극 복하고 이를 통합한 효율적인 교통체계가 구축될 수 있도 록 해야 할 것이다. 또한 복합운송체계의 구축을 위해 중 국 및 러시아와 육로를 통한 직접 교역이 가능해지기 때문 에 이들 나라와 연결되는 철도망의 구축은 큰 의미를 가질 것이다.
 세 번째로 높게 분석된 요인은 산업 인프라 요인으로 전력 및 용수 용량 요인, 3통 환경(통행, 통관, 통신)요인, 사회기반 및 생활 여건 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3통 환경 (통행, 통관, 통신) 0.369, 전력 및 용수 용량 요인이 0.335, 사회기반 및 생활여건 요인 0.296 순으로 중요성 이 분석되었다. 북한과의 경제협력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중요한 요인이 육로 수송・통행이 허용되는 등 비교적 양 호한 3통(통행・통신・통관) 환경이 보장되는 것이다. 또 한, 무엇보다 중요한 요인이 전력 및 발전시설일 것이다. 북한은 발전시설 노후화 등 문제로 인해 발전량은 통계청 추계로 2016년에 239억kWh(수력 128억, 화력 111억) 으로 시설용량의 35% 가동률 수준이며, 남한의 4.4%에 불과하다. IEA 추계로는 2016년 142억kWh로 훨신 낮게 평가되고 있다. 북한 스스로는 2005년에 163억kWh를 생산했다고 한 바 있다. 송배전 설비 노후화도 문제로 지 적된다. 북한의 송배전은 220, 110, 66kV 체제로 구성되 어있는데 주파수는 남한과 같이 60Hz이다. 중국에서 수 입한 송전선 품질의 문제도 있다고 한다. 송배전 상의 손 실률은 일반적인 평균인 15%를 훨씬 넘어 30%를 초과한 다는 분석이 있다. 북한의 전력 부문은 전압이 안정된 전 력을 정전 없이 공급하려면 발전소 추가 건설보다는 기존 발전소의 설비 개체와 보수, 그리고 송배전의 전선 교체와 설비근대화가 급하다. 이러한 문제들이 해결되어질 때 기 업들이 북한 진출에 매력을 느끼게 될 것이다.
 네 번째는 경영 인센티브 요인으로 경영권 및 재산권 보장 0.293, 행정관리 및 규제 0.254, 세제상 혜택 0.229, 법・제도상의 혜택 요인이 0.224 순으로 나타났다. 북한이 2019년부터 자력갱생을 주장하면서 시장경제 시스템을 일부 반영한 ‘사회주의 기업 책임관리제’(기업관리제)를 이행하는 과정에서 기업의 자율적인 경영권 행사를 강조 하고 있다. 노동신문은 2019년 11월 21일 자에서 중요한 것은 “기업체들이 기업 활동을 주동적으로 창발적으로 해 나갈 수 있도록 사회경제적 환경을 조건을 충분히 보장해 주는 것”이라며 기업의 ‘실질적 경영권’ 및 ‘창의적 활동’ 을 위한 ‘국가경제지도기관의 조직 개편’과 법・규정 보완 등을 해법으로 제시하였다. 기업 관리제는 김정은 시대에 ‘북한판 시장경제’의 대표적인 사례로, 효율성 제고를 위 해 생산, 판매, 투자 등 경영활동에 대한 기업의 자율성과 재량권을 확대한 정책이어서 시장경제로 다가선 것으로 평가를 받는다.
 앞의 분석 결과 <Table 9>에서 보는 것처럼 상위요인 과 하위요인의 중요도를 각각 곱함으로써, 전체 14개 평 가지표 간의 중요도 차이를 동시에 살펴볼 수 있도록 하였 다. 여기서 전체 평가지표 중에서 가장 중요한 용인 노동 력 공급이 0.121이며, 두 번째로 중요한 요인이 철도 및 도로 근접성으로 0.114, 항만 용량 및 공항과의 거리가 0.093 순으로 중요한 요인으로 고려하고 있음을 보여주 고 있다.
 

5. 결론 및 향후 연구 방향

 

5.1 연구결과 및 시사점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기업들이 남북경제 협력의 진전 에 따라 국내 기업이 북한에 진출할 경우 북한의 경제개발 구의 입지 조건을 고려하여 산업 입지 개발에 필요한 계량 화할 수 있는 분석 기준을 선정하고, 각 기준 간의 상대적 중요도를 도출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국내기업이 북한 경제개발구에 진출할 경우 입지선정요인의 분석 결과 상 위요인의 중요도 중에서 경쟁력 요인(0.314)이 가장 중 요한 요인으로 도출되었으며 물류 및 교통요인(0.268), 산업 인프라 요인(0.213), 경영 인센티브 요인(0.205) 순으로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북한 경 제개발구에 산업입지로 진출할 때 가장 매력도를 갖는 경 쟁력요인으로는 북한의 노동력 공급을 매우 중요한 요인 을 고려하였다. 국내 투자기업들이 북한에서 성공하기 위 해서는 북한의 노동력을 최대한 효과적으로 활용해야 한 다. 북한 노동력의 활용방안으로 크게 인력관리방안, 보상 관리방안, 그리고 노동의 질 향상방안 등을 제시 할 수 있 다. 그다음으로는 철도, 도로, 항만, 공항들의 교통 인프라 요소들과 전력 및 용수 등의 요인이 중요한 것으로 파악되 었으며, 세 번째로 3통 환경(통행, 통관, 통신)과 산업입 지 개발에 필요한 개발비 투자요인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 났다.
 남북경협은 남북한의 경제발전을 추동할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큰 기대를 받고 있다. 여러 여건을 고려할 때 남 북경협의 발전 잠재력은 크다고 할 수 있지만, 의미 있는 성장 동력이 되기까지는 오랜 시일이 걸릴 것으로 전망된 다. 북한의 제도적 및 물리적 비즈니스 환경이 좋지 않으 며, 이를 충분히 개선하려면 남북한 당국 및 국제사회가 잘 협력하더라도 오랜 시일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부문별, 업종별 구분을 통한 연구가 이루 어지지 않았지만, 부문별, 업종별로 남북경협 여건과 전망 이 많이 다르다는 점에도 고려해야 한다. 북한은 비교적 양호한 노동력을 보유하고 있고 임금 수준이 낮으므로 노 동 집약 제조업의 발전 전망이 밝다. 경제개발구를 개발해 비즈니스 환경을 갖춰주고 노동 집약 제조업체들을 유치 하면 세계시장을 겨냥한 수출산업이 빠르게 발전할 수 있 을 것으로 기대된다. 자본・기술 집약 제조업은 훨씬 더 우 수한 비즈니스 환경이 필요하므로 초기부터 북한에 대거 진출하기는 어렵고 시범사업에서 시작해 점진적, 장기적 으로 진출하는 것이 현실적이다. 현재 북한의 비즈니스 환 경이 미비하다고 해서 반드시 남북경협의 장래가 어둡다 고 할 수는 없다. 비핵 평화 협상의 성공으로 대북제재제 가 해제될 경우 남한과 국제사회의 대규모 개발지원, 즉 공공투자가 추진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도 중요하다. 북한 당국이 전향적인 개혁 개방 정책을 펴기만 한다면, 장기적 으로 남북경협은 크게 발전할 수 있으며, 남북한 경제발전 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5.2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 방향 

 현재 UN과 미국은 50년 한국전쟁 이후 북한이 국제사 회에서 경제활동을 하는 데 대해 전 분야에 걸쳐 경제제재 를 취해 오고 있다. 북한은 미국이 매년 지정하는 테러지 원국 명단에서 제외되지 않고 있어서 여전히 무역 및 금융 분야에 대한 전반적인 제재를 받는 상황이다.
 또한 북한은 투자환경이 대단히 열악하여, 세계에서 가 장 투자위험도가 높은 지역으로 여겨지고 있다. 외국자본 은 북한 시장에 대해 매우 부정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다. 북한의 투자에 대한 문제점을 살펴보면 종합적인 개방정 책 부재, 법 및 제도 적용의 자의성 존재, 투자사업을 진행 하기 위해 부수적인 별도 투자 필요, 시장가격을 반영하지 못하는 환율, 투자기업의 자율성이 보장되지 않는 인력관 리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현재 북한은 경제개발의 추동력을 얻기 위해 경 제개발구법을 시행하여 27개의 경제개발구를 통해 대외 개방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해외투자를 유치하여 경제발전을 도모하고자 하고 있다. 두 번째는 북한의 외국 인 투자관련법에 따르면 남한기업도 북한에 직접투자를 할 수는 있다. 북한에서 가능한 직접투자 형태는 합영기업 (외국 측과 북한 측이 공동으로 출자하고 공동운영), 합작 기업(외국 측과 북한 측이 공동출자, 북한 측 운영), 외국 인기업(외국 측이 단독출자, 단독 경영 ; 특수경제지대에 국한) 등 세 가지방법이 있다. 세 번째는 북한은 아래로부 터의 시장화 및 지속적인 인구증가로 노동생산력도 향상 하고 있으며 네 번째는 북한은 7,000조 원의 풍부한 지하 자원을 가진 미래가치 시장을 확보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북한은 지리적 중국과 러시아, 한국 사이에 위치하여 엄청 난 경제적 잠재력 가지고 있다.
 남한은 현재 자원 부족, 인구절벽, 코로나바이러스 상 황, 내수 경기 부진의 장기화 등으로 잠재성장률이 하락하 고 있는 실정으로 이를 위한 새로운 성장 모멘텀이 필요하 다. 미래가 불투명한 한국의 현 상황에서 남북관계의 진전 에 따라 북한의 개혁・개방으로 남북한 경제 통합 시 한국 의 기술, 자본과 북한의 자원, 노동력이 합쳐지는 강건한 내수 시장과 경제권 확대 등으로 한반도의 새로운 기회와 한국 경제에 새로운 성장 모멘텀을 가져다줄 것으로 기대 된다.
 본 연구에서 한국의 한반도 신경제지도 구상, 평화경제, 남북경제공동체 구상과 북한지역 경제개발구 정책을 연계 하여 향후 남북관계 개선과 경협 활성화를 통해 한국경제 의 새로운 성장 동력을 만들고 일자리를 창출하는 목표를 담고 있다. 따라서 기존 정치 상황에 좌우되는 경협의 패 러다임이 중요한 고려사항으로 본 연구에서는 정치적 위 험은 고려하지 않았다.
 북한의 경제개발구는 공업 생산력 강화를 위한 가장 핵 심적인 기반 사업이므로 물류 수송 체계의 개선과 병행하 여 우선적인 투자 대상이 될 것이다. 특히 경제개발구의 경우 북한 정부가 강한 개발 의지를 보이고 있음으로 협력 의 가능성도 그만큼 높은 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 에서는 북한의 경제 및 산업의 특수성을 반영한 평가내용 을 제안하였다. 즉, 북한의 경제개발구에 국내기업이 지출 할 경우 마련해야 할 역량으로 다양한 여건들을 파악하고 고려하여 부문별 평가지표를 선정하고, 입지평가 기준에 대한 가중치를 도출하였다. 본연구결과는 개별기업이 북 한의 경제개발구에 진출할 경우 입지 평가를 위한 평가 기 준을 제시하고 평가 결과를 정량화함으로써, 기업의 의사 결정 과정에서 신속한 결정을 유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 을 것으로 보인다. 뿐만 아니라 평가지표 선정 및 지표별 가중치 결정 과정에서 사업실무자 및 전문가 의견이 효과 적으로 반영될 수 있도록 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활용 도는 더욱 커질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첫째, 업종별 평가지표 선정 및 지 표별 가중치 결정이 이루어지지 못했으며, 두 번째는 각 경제개발구에 대한 대안 평가가 이루어지지 못하였고, 세번째는 학계와 산업계 전문가를 구분하여 평가가 이루어 지지 못하였으며, 더욱 현실적인 평가모델 구출을 위해 북한에서 탈북 한 전문가들의 의견을 반영하지 못하였다. 추 후 이러한 점들을 반영하는 연구를 진행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남한 기업이 북한 진출 시 어느 경제 개발구에 투자할 것인가를 결정하거나, 남북한의 적정 산 업 배치안을 작성하는데 가이드라인이 될 것이다. 그러나 투자에 필요한 추가적인 고려사항들도 많아 최종적인 입 지 결정에 있어서는 신중한 결정이 요구된다. 또한 북한 경제개발구의 입지 여건에 대한 개별요소들을 보다 다양 화하여 종합적인 상황을 고려한 입지선정기준을 평가하고 계량화하는 북한 경제개발구 개발에 대한 의사결정을 지 원할 수 있는 연구는 추가로 필요하다.

Figure

Table

Reference

  1. [1] A. Frenkel(2012), “High-tech firms’ location considerations within the metropolitan regions and the impact of their development stages.” European Planning Studies, 20(2):231-255.
  2. [2] D. H. Cho, et al.(2002), Searching for North Korean economy development strategy. Korea Development Institute.
  3. [3] D. Kim(2012), A study of inter-Korean economic integration: A development strategy of North Korean economy. Korea Development Institute.
  4. [4] E. C. Leem(2006), “Comparison of legislation for revitalization of special economic zones in transition countries.” Unification Problem Research, 18(2), Institute of Peace Affairs.
  5. [5] E. M. Graham(2004), “An export processing zones attract FDI and its benefits? The experience from China.” International Economics and Economic Policy, 1:87-103.
  6. [6] FIAS(2008), Special economic zones: Performance, lessons learned, and implications for zone development. The multi-donor investment climate advisory service managed (FIAS) by the International Finance Corporation (IFC) and supported by the Multilateral Investment Guarantee Agency (MIGA) and the World Bank (IBRD), The World Bank.
  7. [7] G. H. Lee, et al.(2001), Inter-Korean industrial map for a unified Korea. National Federation of Businessmen.
  8. [8] H. A. Stafford(1974), The anatomy of the location decision: Content analysis of case studies. In Hamilton, F. E. I. (ed.), Spatial perspectives on industrial organization and decision making. New York. John Wiley & Sons.
  9. [9] H. G. Jung(2002), Shenzhen special economic zone development and operation policy. KDI North Korean Economy Review, Korea Development Institute.
  10. [10] J. Dunning(1979), “Explaining changing patterns of international production: In defense of the eclectic theory.” Oxford Bulletin of Economics and Statistics, 161(41):269-295.
  11. [11] J. H. Lee(2013), “A study on revitalization through analysis of general industrial complexes: Focusing on Busan, Ulsan, and Gyeongnam.” Master's thesis, Youngsan University.
  12. [12] J. Park(1997), The economic impacts of migration after unification. Seoul: Korea Development Institute.
  13. [13] J. R. Park, S. J. Ryu, D. G. Bok, I. C. Choi(2002), Successful promotion plan of special economic zone. CEO Information, Samsung Economic Research Institute.
  14. [14] J. T. Lee, D. I. Kim(2017), “Analysis of factors that determine industrial complex location.”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12):343-349.
  15. [15] K. C. Ryuk(2012), “Determinants industrial complex pre-sale research.”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16. [16] K. Jayanthakumaran(2002), “An overview of export processing zones: Selected Asian countries.” University of Wollongong Department of Economics Working Paper Series, WP 02–03.
  17. [17] K. M. Yang(2011), “A study on the factor analysis of distribution center location selection using analytic hierarchy process.” Journal of the Korea Safety Management & Science, 13(2):129-135.
  18. [18] Law Firm Yulchon North Korea Team, Maeil Economy Small and Medium Business Department(2018), How can I succeed in investing in North Korea? Maekyung Media Group.
  19. [19] M. A. Badri(2007), “Dimensions of industrial location factors: Review and exploration.” Journal of Business and Public Affairs, 1(2):1-26.
  20. [20] M. J. Choi(2003), Conditions for success in SEZ, SEZ: Korea economic survival project. Samsung Economic Research Institute.
  21. [21] M. K. Kim(2018), “Quantitative location analysis of North Korean special economic zones and economic development zones.” KDB, 16.
  22. [22] R. Tyagi, C. Das(1995), “Manufacturer and warehouse selection for stable relationship in dynamic wholesaling and location problems.” International Journal of Physical Distribution and Logistics Management, 26(6).
  23. [23] S. J. Kim, J. H. Hong(2019),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Development potential and policy implications. Korea Institute for National Unification.
  24. [24] S. J. Lee, C. K. Kim, B. J. Lee, K. M. Lee, E. J. Bae(2013), Major development projects for the integrated Korean Peninsula.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25. [25] S. J. Lee, W. B. Kim, Y. B. Kim, S. S. Lee(2004), Strategy for utilizing special economic zones in Northeast Asia in the age of cooperation.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26. [26] S. K. Lee, et al.(2013), Deepening, expansion, and development strategy of the inter-Korean cooperation zone. KIET
  27. [27] S. K. Lee, S. J. Kim, G. J. Jung(2013), North Korea's potential for industrial development and tasks of South-North cooperation. KIET.
  28. [28] S. Maria(2010), “Special economic zones in Russia: A general look.” PECOB Business Report, Portal on Central Eastern and Balkan Europe.
  29. [29] S. Radelet(1999), “Manufactured exports, export platforms, and economic growth.” Harvard Institute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Continuing Assistance on Economic Reform II, Discussion Paper 43.
  30. [30] Samjung KPMG North Korea Business Support Center(2018), North Korean business entry strategy. Do and Book.
  31. [31] T. Curtis, S. Hill, C. Lin(2006), Special economic zones: chinese, russian, and latin american cases and the use of SEZs as an economic development tool. International Economic Development Program, Ford School of Public Policy, University of Michigan.
  32. [32] T. E. Kim, G. J. Goo(2007). “Determinants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Importance of government regulations.”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41(4):203-228.
  33. [33] T. Farole(2011), Special economic zones: What have we learned? The World Bank Economic Premise, Washington DC, No. 64.
  34. [34] T. L. Satty(1977), “A scaling method for priorities in hierarchical structures.” Journal of Mathematical Psychology, 15:57-68.
  35. [35] V. W. Choi, T. Y. Chung, D. H. Kim(2018), “A study on the location analysis of special economic zones in North Korea.” National Strategy, 24(3):61-85.
  36. [36] Y. G. Cho(2011), Comparative analysis and implications of special economic zones in Central Asian countries: Focusing on Kazakhstan, Uzbekistan, and Turkmenistan. KIEP.
  1. SEARCH
  2. Online Submission

    http://submission.koreasafety.or.kr

  3. KSSM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ManagementWaste Society

  4. Editorial Office
    Contact Information

    - Tel: +82.31.336.2844
    - Fax: +82.31.336.2845
    - E-mail: safety@mju.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