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6783(Print)
ISSN : 2288-1484(Online)
Journal of the Korea Safety Management & Science Vol.23 No.3 pp.57-66
DOI : http://dx.doi.org/10.12812/ksms.2021.23.3.057

A Study on Suggesting a Road-Map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Rescue

Chan-Seok Park*
*Department of Fire Service Administration. Seowon University
본 논문은 소방청 연구보고서 2021-7 󰡔구조품질 강화방안 연구󰡕 중 제6장 구조품질 향상 로드맵 제안의 일부분을 발췌 및 수정하여 작성한 논문임.
Corresponding Author : Chan-Seok Park, Fire Service Administration, SEOWON UNIVERSITY, 377-3, Musimseoro, Seowon-gu, Cheongju, Chungbuk, E-mail: ppcwh@snu.ac.kr
August 20, 2021 September 10, 2021 September 13, 2021

Abstract

Along with the increase in demand for rescue services, the types of rescue services are also diversifying. Accordingly, rescue workers are exposed to various unpredictable dangerous situations, and the possibility of safety accidents is increasing, so the need for systematic management of safety accidents by rescue teams is emerging. It is necessary to present a roadmap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rescue services. An integrated technology roadmap tool that can be used immediately to improve structural quality was applied. The driving elements of the roadmap are composed of three elements that constitute the improvement of structural quality. It can be divided into safety management, professional competence and other (policy support) fields. This study intends to present a long-term and short-term roadmap by dividing it into safety management, professional competency, and other (policy support) fields.

구조품질 향상을 위한 로드맵 제시 연구

박찬석*
*서원대학교 소방행정학과

초록


1. 서 론

 종래의 119구조대의 경우 단순한 인명구조의 기능만을 수행하였으나 국민들의 삶의 질 변화와 인식의 변화에 따라 구조서비스에 대한 지속적 수요증가로 현재는 생활안전활동을 포함한 다양한 구조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구조출동은 10년 전(2010) 대비 현재(2019)는 출동 건수는 129%, 구조건수는 159%로 2배 이상 크게 증가하였고, 구조인원은 8.2%로 소폭 증가하였으며 이는 구조 서비스에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조서비스에 대한 수요증가와 더불어 구조 서비스의 유형도 다양화함에 따라 구조대원은 다양한 예측불가능한 위험상황에 노출되고 안전사고의 발생가능성 커지고 있어 구조대의 안전사고에 대한 체계적 관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구조대원 및 구조대의 안전 문제는 종국적으로는 대국민 구조품질에 영향을 주므로 단순히 구조대 개인의 문제 또는 조직 내부의 문제에 그치는 것이라 볼 수 없으며 대국민 구조품질 향상을 위해서도 구조대의 안전역량 강화는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구조대원의 현장안전사고는 지속하여 증가하여 현장대원 종합안전대책 등이 시행되고 있지만, 구조품질 향상을 위한 로드맵의 체계적 관리는 부족한 상황으로 이에 대한 로드맵의 필요성이 절실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구조서비스 품질향상 로드맵의 제시를 위하여 즉시 활용이 가능한 통합적인 기술 로드맵 도구를 응용하였으며, 로드맵의 추진 요소는 구조품질 향상을 구성하는 3가지 요소인 안전관리, 전문역량 및 기타 정책지원 분야로 구분하여 장·단기 로드맵를 제시하고자 한다.
 

2. 이론적 논의

2.1 연구방법론

 본 연구는 구조품질 향상 로드맵 제시를 연구대상으로 하므로 국내·외 구조업무 수행조직별 조사·비교·분석과 구조서비스 수혜자 만족도 조사의 현황을 분석하고, 구조대원 설문지의 결과를 통해 구조대원의 안전 및 전문성 강화방안을 도출하고, 기술로드맵을 응용하여 구조서비스 품질향상을 위한 장·단기 로드맵을 제시하고자 한다.
 기술로드맵은 1980년 대 Motorola사에서 최초로 개발되어 주로 기술집약적 대기업에서 기술예측 및 연구기획을 위해 사용되기 시작했으며, 현재에는 기업은 물론 정부 부문에서도 주요 연구기획기법의 하나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Kostaff et. al.(2001)은 기술로드맵을 “기술로드맵이란 과학기술 요소들 간의 시간적 또는 구조적 관계를 시각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일반적인 도로지도와 비교할 때 도로의 방향, 길이, 폭 등은 시간적 요소와 비유되며, 도로 주변의 정보는 구조적 요소에 비유된다”고 하고 있다.
 기술로드맵 작성 대상의 산업 범위, 기술로드맵의 작성 주체, 기술로드맵의 작성대상, 기술로드맵의 작성 목적, 기술로드맵의 작성 형태, 기술로드맵 작성의 시간 방향 그리고 기획 방향에 따라 매우 다양한 형태가 있으며 이런 분류는 일차원적 구분 외에 이차원적인 결합에 따라 여러 유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기술로드맵은 작성대상의 산업 범위를 어디까지 하였느냐에 따라서 복수 산업차원, 단일 산업차원, 개별 기업차원의 로드맵으로 구분될 수 있다.
 대상 주체의 범위에 따라 정부 주도 로드맵, 산업 주도 로드맵, 기업 주도 로드맵, 제품-기술 로드맵, 유망 기술 로드맵, 이슈 관련 로드맵으로 구분될 수 있다.
 기술로드맵은 작성 주체와 분석 대상의 두 가지 기준의 이차원적인 조합이 가능하며 이를 네 가지로 유형화 할 수 있다.
 첫 번째, 작성 주체 측면에서는 국가나 산업차원에 있어서 미래에 대한 통찰을 얻기 위한 것인지, 기업 차원에서 조정과 전략을 설정하기 위한 것인지로 구분되며 두 번째, 분석 대상 및 범위 측면은 과학기술 분야 전반에 걸친 동향 분석을 통한 기회 탐색인지, 특정한 제품과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목표 설정과 추진전략을 포함하는지에 관한 것이다.
 구조분야의 품질을 강화하기 위한 로드맵 작성을 위하여 구조분야의 품질을 강화하기 위한 각 기준요소를 설정하고, 그에 따른 단계적 로드맵을 작성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제시하고자 하는 로드맵은 구조 품질 강화방안의 추진 요소 및 요소의 단계성 활성화이며, 각 요소의 강화를 위하여 추진 기간(장·단기) 및 추진 단계의 측면의 요소를 설정하여 작성하고자 하였다.
 구조품질 로드맵 추진요소인 구조대의 안전관리, 전문 역량에 대하여는 전문가 활용에 따라 구조 품질분야의 사례연구 등을 통해 도출한 각각의 방안을 토대로 로드맵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추진 요소는 구조품질의 향상을 구성하는 기본 3가지 요소를 “구조대의 안전관리”, “전문역량”, “기타(정책지원)”적 측면의 3가지 요소로 선정하였다.
 
 
 위 그림과 같이 구조품질 향상을 추진하는 요소로 선정된 3개지 측면의 각 요소에 대한 선정기준 및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구조대원의 안전관리 분야는 현장 소방활동 안전관리에 있어 현장 대원들은 주 원인이 제도적 장치 부재에 있다고 판단하고 있어, 현장대원들이 체감할 수 있는 안전관리 정책과 제도의 마련과 시행이 요청된다고 보이며 더불어 매뉴얼 미흡과 안전관리 교육의 문제도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바 이에 대한 점검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두 번째로 구조대원의 전문역량은 구조품질의 향상을 위한 핵심 요소이며, 현장 대원들은 사고사례전파 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은 공감하고 있으며, 현장지휘관의 사고 사례 전파와 안전관리 교육 실시에 대하여는 비교적 잘 이루어지고 있다고 응답한 반면에 현장안전점검관의 전문역량 강화가 필요하다고 보고 있으며, 현장지휘관의 리더십이 현장안전관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인이라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더불어 현장대원들은 리더십 유형에서는 성과와 관리지향형 리더보다는 현장대응에의 전문성과 지휘역량을 바탕으로 대원들과 함께 할 수 있는 참여형 리더와 이러한 역량을 기반으로 신속하고 정확한 지시를 내릴 수 있으며 이 지시에 대해 대원들이 신뢰를 보낼 수 있는 리더십을 재난현장에 필요한 리더로 판단하고 있다.
 세 번째로 기타(정책지원)분야는 구조서비스 품질향상을 위한 보조적 수단이나 문제해결을 위한 정책으로 필요기 때문이다.
 구조대원의 구조품질 강화를 위하여 제시되는 전체 로드맵의 추진기간은 “단기”, “장기”적 관점에서 설정하였으며 추진 기간은 정부의 정책적 유연성에 따라 적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별도로 설정하지 아니하였다.
 

2.2 선행연구 검토

 국내 선행연구에서는 구조서비스의 품질 향상을 위한 로드맵 제시에 관한 연구는 존재하지 않았지만 구조대의 전문역량 및 안전관리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대안이 필요 하다고 주장하였다.
 이재호(2010)는 소방공무원에 대한 설문조사 분석, 소방안전사고 사례 등을 토대로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다음의 정책들을 제언하였다.
 첫째, 근무여건과 환경개선, 개인안전장비 확보와 개선
 둘째, 개인안전장비의 확보와 각종 소방장비의 경량화, 첨단화, 복합적인 기능을 제품화 할 수 있는 지속적인 연구와 개발
 셋째, 효율적인 소방무선통신의 구축 운영 강화
 넷째, 자율적인 안전관리기반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각 소방기관별 안전관리 수준을 평가하는 시스템 도입이 필요하며 기본적으로 대원 스스로가 안전의식을 제고하고 재난현장 표준작전절차(SOP) 이행, 소방안전 전문교육 강화, 사고유형별 실기실습 훈련시설 확보, 도상훈련 관리 시스템 조기정착, 위험예지훈련의 강화, 소방공무원 안전 보호수준 평가시스템 도입 등이 필요
 다섯째, 안전사고방지 전담팀 운영을 통한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현장안전관리
 여섯째, 소방관서에서 여러 경로로 수집하는 현장정보 수집체계는 DB화하여야 하고 새로운 정보가 확보될 때마 다 업데이트가 즉시 이루어져야 하며 이는 재난현장에서 적극 활용
 일곱째, 대원의 위치와 상황을 확인할 수 있는 현장안전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고 운용
 유현희 등(2015)이 연구를 통해 제시한 소방공무원 안 전사고 예방을 위한 방안은 아래와 같다.
 첫째, 소방공무원의 안전의식 제고가 필요하다.
 둘째, 소방장비의 개선 및 확충이 요구된다.
 셋째, 인력보강 및 근무환경의 개선이 시급하다.
 넷째, 실질적인 현장대비훈련 및 위험예지훈련 실시가 필요하다.
 다섯째, 현장지휘관의 지휘ㆍ통제 역량 강화가 필요하다.
 여섯째, 현장중심의 소방 활동과 행정업무의 엄격한 분리가 필요하다.
 일곱째, 소방공무원의 안전관리를 위한 전담부서를 설치, 지속적 건강관리 및 안전관리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조승현(2016)은 특히 안전장구의 소형화·경량화· 고성능화는 현장에서 활동하는 소방공무원의 안전을 지키고 활동력을 높이는데 중요하므로 각자의 신체조건에 알맞도록 제작되는 등 개선 노력이 시급하며 소방장비를 소형화·경량화·고성능화하여 제품화 할 수 있는 지속적인 연구와 개발이 필요함을 역설하였다.
 안전관리 관련 선행요인 등에 관한 선행연구에 대한 검토 결과 현장에서의 소방공무원 안전관리 및 전문역량에 관한 예측요인(영향요인)은 대략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조직적 측면에서는 인력부족, 현장지휘관의 지휘·통제 역량 강화 및 지휘관의 안전의식, 교육훈련, 구조훈련, 안전교육, 구조안전전문교육, 실질적 현장대비 훈련 강화, 위험노출의 이력관리, 통합적인 장비관리 시스템, 표준작전절차의 내실화 및 현장 적용성 제고, 안전관리 전담부서 설치ㆍ운영, 현장정보 수집 및 관리 시스템 구축, 안전ㆍ구조장비 관리, 안전ㆍ구조장비 성능, 통신장비 성능이 소방공무원의 안전관리 및 전문역량에 영향요인으로 작용하였다.
 개인적 측면에서는 위험물질에 대한 정보, 위험성 평가에 관한 지식, 표준작전절차(SOP)에 대한 이해도, 체력, 안전의식, 개인안전장비의 관리 및 표준작전절차(SOP) 준수도가 안전관리 및 전문역량에 영향요인으로 작용하였다.
 

3. 구조품질 향상 방안

3.1 국내·외 구조업무 수행조직별 분석

3.1.1 국내 구조업무의 문제점

 1988년 서울 올림픽 유치를 계기로 발족된 구조대의 업무는 소방업무로 정착되면서 양적·질적으로 성장하였으며 구조업무의 일상화로 국민 대부분이 정부제공 당연 서비스로 인식하고 있으나 질적 성장은 상대적으로 정체 되어 초기의 참신성과 구조서비스 만족도 향상관련하여 여전히 지지부진한 추세에 있고, 또한 최근 잦은 기상이변과 테러 위협의 증대로 재난위험요인의 주류적 특성이 변함에 따라 기존조직 및 인력으로는 효과적 대처가 곤란한 상황이다.
 기존 재난위험이 건물화재, 풍수해(단순화) 재난에 국한되어 있었다면 방화, 테러, 지진(다양화) 재난으로 주요 위험사고가 이동하고 있으며 피해규모 또한 광역화, 대규 모화 추세에 있으며 위험요인의 특성은 동태적이며 동시 다발적으로 변동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미 3교대 근무에 따른 인력 증원과 맞물려 일선 안전 센터의 생산성에 대한 압박이 가중되고 있는 지금, 새로운 재난위험현장에 구조서비스 품질을 향상하고 소방이미지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구조업무의 기능 개편을 검토하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이 구조업무의 문제점을 요약하면 다음 같다.
 첫째로 구조업무 분야별 스페셜리스트(Specialist) 부재로 특수재난에 대한 효과적 대비·대응의 어려움이다.
 둘째로 현장활동 중심의 조직으로 운영하여 대비계획 기획, 연구, 교육훈련의 기능 부족이다.
 셋째로 화재, 구조업무 상호간 불균형 현상심화(구조건수 증가 ↔ 화재건수 감소)이다.
 네 번째로 화재현장에서 화재진압대원의 구조활동 지연 가능성과 기능약화 초래이다.
 

3.1.2 외국의 구조대 운영실태

 일본소방의 경우는 한국처럼 소방본부 별로 일반구조대를 조직·운영되고 있으나 미국·영국·싱가포르 등 대다수 선진국에서는 안전센터가 구조업무를 병행하고 있다.
 소방펌프 차량에 구조장비를 적재하고, 일반구조를 할 수 있도록 기능 보강하고 있으며 특수재난 사고에 대비한 작전부대를 권역별로 편성 운영하고 있다.
 특히, 뉴욕소방의 경우 HasMat Group(1 Specialist Company + 12 Technician Company)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영국 런던의 경우 문 잠김 사고 등 비긴급구조업무를사전 정의해 위험평가 후 선별 대응하고 있다.
 일본의 경우 터널, 건물 등 붕괴로 구조대원의 진입이 어렵거나 불가한 상황에서 다이너마이트 등 폭발장치로 직접 폭파하여 인명구조 하는 훈련을 실시하고 있으며 미국의 장비구매방식에 있어서는 소방서별예산을 계획, 승인 받은 후 이를 바탕으로 장비를 구매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특히, 미국은 “소방관 혜택(firefighter benefit)”이라 는 이름으로 소방관들을 위한 휴식이나 근무교대 등 혜택을 현장 활동의 우선순위에 포함해 강조하고 있으며 구조 대원의 진급 자격에 있어서도 상위 직급에서 요구하는 교육 미수 및 직무 기준에 맞는 자격 취득 후 시험 승진하여 지휘관이 되는 구조(신규채용의 경우 대부분 경력직 특채 로 인재 채용 시스템을 갖고 있음)를 가지고 있다.
 

3.1.3 개선방안

 
 국내 119안전센터 화재진압요원의 역할을 진압·구조 (대피 포함) 업무로의 영역확대가 필요하다.
 즉, 현재 화재진압 업무 외 일반구조업무를 공식적(법 제화)으로 추가하고 소방 펌프차에 구조차 기능과 구조장비를 추가로 적재하여야 한다.
 또한, 현재의 구조대는 권역별 특수작전 구조대로 재편성하여 테러, 화학물질사고, 도시탐색구조, 수난구조, 산악구조 등 특수 전문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하고 현장대응 외 기획, 연구, 교육기능 등 추가로 역할모델을 중앙 119구조본부 같이 변화를 추진하여 재난유형별 다양한 위험요인에 실효적인 대비, 대응할 수 있도록 시스템 구축 하여야 한다.
 일선 119안전센터 화재진압요원의 일반구조 역량 강화를 위하여 1~2년 정도의 유예기간을 두고 교육훈련 강화 (인명구조사취득) 및 구조기법 노하우(knowhow)를 전수할 수 있도록 하고, 화재진압요원의 인력 확충 및 화재 진압요원과 구조대원 상호간 교차근무 확대로 구조현장의 대응력을 제고하여야 한다.
 소방 펌프차량 구조·기능 모델개선 및 점진적 교체를 위하여 화재진압 외 구조기능을 지원하는 신규모델의 도입(개발) 및 차량 구매시 새 모델 적용하고 특수작전구조대 기능을 현장활동 외에 기획, 연구, 교수 등 다양한 분야로 확대하여야 한다.
 

3.2 구조서비스 수혜자 만족도 분석

3.2.1 구조서비스 품질향상 필요성 증대

 구조서비스의 경우에는 “구조서비스 수혜대상 시민 만족도” 등의 설문 등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구조서비스 품질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현재와 같이 단순히 구조서비스 수요자에게 만족도 조사만을 하는 것은 많은 오류를 가져올 수 있고 효율적인 구조서비스 품질관리에도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현재의 수요자 중심의 만족도 조사에 대한 보완과 공급자 입장의 품질관리를 통한 보완 대책에 대한 과학적 연구가 절실히 요구되는 상황이다.
 

3.2.2 구조서비스 수혜자 만족도 실태

 구조서비스 수혜자 만족도 조사는 소방서비스의 품질을 시민과 소방공무원들의 시각에서 주기적으로 측정ㆍ지수화 하는 것으로써 시민의 시정에 직접 참여하는 폭과 주기를 확대하고, 그 반응의 정도를 업무에 반영하여 시민이 체감하는 소방서비스를 이루게 하는 목적을 담고 있으며 또한, 소방공무원에 대한 조직의 몰입도와 업무수행에 따른 만족도를 조사하여 사기진작을 위한 시책개발과 시정에 직접 참여하는 폭과 주기를 확대하고, 그 반응의 정도를 업무에 반영하여 시민이 체감하는 소방서비스 제공에 질적 향상을 기대하여 실시하는 행정이다.
 포항북부소방서의 보다 나은 구조ㆍ구급 서비스 제공을 위해 119구조구급대를 이용한 시민을 대상으로 2010 서비스 만족도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의 93%가 비교적 만족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개선할 사항으로는 구조구급대가 현장에 도착하기 전까지의 긴급조치 및 응급처치 안내가 다른 항목에 비해 약간 미흡하다고 응답(적절의견 55명, 76.4%)하였으며, 구조구급대의 신속한 현장도착도 약간 미흡하다고 응답(신속하게 도착 의견 54명, 75%)하였으며 이 밖에도 구급차의 성능개선, 구급대원 보강 및 처우 개선, 구조장비 현대화 등에 대한 의견도 많았다.
 경기도 소방재난본부의 2020년 구조 활동에 대한 현장 활동 만족도를 평가하는 “해피콜” 실시 결과 구조 유형별로 보면 교통사고와 수난사고, 유해화학, 붕괴, 산악구조 등 긴급한 구조활동 유형 모두 만족도가 높았으나 비긴급  “기타 안전조치” 구조활동 등은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낮았으며, 향후 기타 안전조치의 구조활동에 대한 만족도 를 높이기 위하여는 현장활동 안전사고 방지, 생활안전대 시민 만족도 향상 및 대시민 친절교육 등의 활성화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전시 소방본부 “2009년 구조·구급 수혜자를 대상으로 서비스 만족도” 조사 결과 시민 만족도가 99.2%로 나타나 119에 대한 신뢰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현장도착전까지 신고자에 대한 사전안내를 받았다는 응답자가 64.8%에 그쳤고 구조활동 및 응급처치 등이 적절하다는 답변은 62.3%로 비교적 낮아 개선해야 할 점으로 지적되었다.
 경상남도 구조구급과에서 실시한 2015년 119구조· 구급서비스 만족도 조사 결과 119구조·구급대가 보다 낳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정책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개선사항 또는 요구사항의 주관식의 답변 중 주요 내용으로서는 전문적인 지식과 현장 경험이 풍부한 대원으로 배치(전문역량), 119구조대가 각 면 단위에도 소수의 인원이라도 상주해서 신속한 출동이 되었으면 함(구조대 증설 =인력증원), 119구조대원들의 복장과 안전장구들이 하루빨리 개선되었으면 함(장비의 개선), 최신 장비로의 교체 및 전문인력 충원(장비개선및 전문인력 충원) 및 처우 개선과 전문교육강화 그리고 특수복 및 장비의 질 향상 등 (전문교육 강화)의 의견을 제시하였다.
 

3.2.3 개선방안

 
 구조서비스 수혜자 만족도 설문조사 사례는 포항 북부 소방서 등 4개 소방서의 조사결과를 참조하였으며, 설문 조사 방법은 우편 또는 모바일을 통하여 이루어졌으며, 설문조사 항목은 고품질의 구조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친절성, 책임성, 전문성, 신속성, 적극성 등으로 나누어 설문한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조사 결과는 전문성 등 모든 항목에서 전반적으로 매우 적절 또는 적절함으로 긍정적으로 답변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현장 도착의 신속성은 다소 미흡하다는 평가였으며, 기타 안전조치 등 구조출동은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119구조·구급대가 보다 낳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정책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개선사항 또는 요구사항의 주관식 답변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로 구조대의 현장 도착 전까지 신고자에 대한 사전 안내 필요(예 : 구조대는 요구한 시간으로부터 2분 안에 도착한다라고 하지만 요구조자 입장에서의 2분은 상당히 긴 시간이다)
 두 번째로 지속적인 소방장비의 개발과 개선으로 구조 장비의 현대화 필요
 세 번째로 각 면단위에도 소수의 인원이라도 다양한 서비스와 신속한 대처 능력을 위한 구조대원의 인력 확충 필요
 네 번째로 인명구조에 힘쓸 수 있도록 동물구조 등은 제외 필요
 다섯 번째로 전문적인 지식과 현장 경험이 풍부한 대원으로 배치 필요
 결론적으로 구조서비스 수혜자 만족도 향상을 위하여 구조구급 교육 및 훈련을 강화, 전문성을 높이는 것은 물론 다양한 구조 서비스와 신속한 대처 능력을 위하여 구조 대원의 인력 및 최신 구조장비의 확충 등 향후 연구가 필 요하다.
 

3.3 구조품질 현황분석 및 강화방안 도출

3.3.1 안전관리 분야

 구조품질 중 안전관리 분야는 최근 10년간(2011~ 2020) 소방공무원 위험직무순직 사례 중 구조활동과 관련한 순진사고 중 사례분석의 필요성이 있고 분석자료가 존재하는 16가지의 순직사례 및 순직사고가 아닌 일반 구조활동관련 현장안전사고 중 분석의 필요성이 있는 안전 사고 사례를 전문가 자문그룹의 의견 청취를 통해 4가지 사례를 추가로 선정한 20가지 사고사례를 분석한 결과를 구조품질 향상을 위하여 즉시 활용이 가능한 통합적인 기술 로드맵(technology roadmap) 도구를 이용하여 장· 단기적 로드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안전관리분야 단기적 로드맵(안)은 도상훈련 등 교육훈련 강화 및 체력관리 프로그램 적극적 운영, 안전장비의 착용 의무화, 노후 장비의 신속한 교체 및 주기  장비의 점검, 건물 구조 및 구조활동 환경에 대한 충분한 정보제공 및 주기적 도상훈련 실시, 구조활동 계획·절차의 검토 및 구조활동 사후 검토제도 도입, 현장안전교육의 내실화 및 구조대 배치 자격기준 재정비 및 활용안이 도출되었다.
 안전관리분야 장기적 로드맵(안)은 실효성 있는 교육 훈련 평가제도의 도입(승진 등), 피로감을 최소화할 수 있는 근무환경 조성(인력확충), 구조현장에 적합한 장비의 도입, 안전확보 장비기준 마련, 4차산업기술을 응용한 실시간 정보제공기술 활용(AR, IOT기술) 및 소방 무선망 디지털화 및 분대용 현장활동 무선통신장비 도입, 구조대 원 현장안전관리 규정 제정, 현장안전관리 계획 및 매뉴얼의 제정 및 전파, 현장안전전담부서의 신설 및 운영, 구조대 인력보충을 통한 동일분야 출동대 우선 출동 조치안이 도출되었다.
 

3.3.2 전문역량 분야

 구조품질 중 전문역량 분야는 부산 특수구조대등 9개의 구조대(소방서)의 1,832명(리더급소방공무원 19.1%, 일반 구조대원 80.9%)에게 설문한 자료 가운데 “구조품 질향상을 위한 기타 설문”을 통하여 얻은 주관식의 응답자료를 활용하였다.
 설문 내용은 구조서비스의 품질 향상을 위해 도입되었으면 하는 제도 및 정책, 현행 구조분야 정책 중에 구조품 질서비스의 품질 향상을 위해 가장 고쳐져야 할 부분(문 제점) 및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 기타 구조대원의 현장 안전관리, 전문역량, 구조품질향등에 대한 건의사항에 대하여 답변은 주관식으로 하였다.
 특히, 구조서비스품질 향상을 위해 가장 고쳐야 할 부분 (문제점)은 무엇이고, 이의 개선방안은 무엇인지에 대한 응답자료(문제점 : 322건, 개선방안 : 271건)중전문역량 분야의 내용(문제점 : 76건, 개선방안 78건)을 정리하여 개선방안(국내·외 구조업무수행조직비교, 안전사고 사례분석 등 공통된 내용을 중심으로)을 도출하였으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인력의 측면에서는 구조대장 최소(10년) 근무연수제도 마련(구조대장 전문성 결여 다수), 구조대원 장기근무 제도 마련(구조대 인원의 잦은 인사), 구조대장(원)의 인명구조사 자격자로의 배치가 있으며, 장비의 측면에서는 노후된 구조장비의 신속 교체시스템 마련(절차 간소화), 현장에 맞는 신 구조장비의 신속 도입이 있다.
 또한 교육 및 훈련의 측면에서는 구조대원 진급 시 계급에 맞는 교육과정 개설, 구조현장에 맞는 구조 보수교육제도 확대 마련, 외부기관을 통한 전문교육 확대(전문구조 능력 강화), 구조현장별 세분화된 구조 매뉴얼 마련 및 보급, 소방서 단위의 팀별(팀웍)종합훈련시설 확충, 지역적, 특정 재난현장에 맞는 특별교육훈련시설 확충, 실물 화재 (구조)집중훈련시설 확충(형식적 SOP 교육 지양) 및 수난훈련대비 소방전용수영장 확보 필요(수난구조기술 강 화)의 개선방안이 도출되었다.
 

3.3.3 기타 정책지원 분야

 
 기타(정책지원)분야는 부산 특수구조대등 9개의 구조대(소방서)의 1,832명(리더급소방공무원 19.1%, 일반 구조대원 80.9%)에게 설문한 자료 가운데 “구조품질향상을 위한 기타 설문”을 통하여 얻은 주관식의 응답자료를 활용하였다.
 구조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해 도입되었으면 하는 제도 및 정책, 기타 구조대원의 현장안전관리, 전문역량, 구조 품질향상 등에 대하여 건의할 사항의 질문에 대한 응답자료(제도 및 정책 : 391건, 건의사항 : 211건) 중 기타(정 책지원) 분야로 정리(146건)하여 국내·외 구조업무 수행조직 비교, 안전사고 사례분석 등 공통된 내용을 중심으로 개선방안을 도출하였으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인력 측면에서는 관내 구조대 증설(한 개서, 한 개의 구 조대 및 구조인력 부족), 구조 주특기(생활안전, 수중, 중 량물, 수상, 산악, 화학, 위험물, 고층구조등) 분야 신설, 신임 구조대원 특채 비율 확대(공채에서 지원, 선발 지양), 구조대 격무부서 가점 인정(승진 시 가점 등), 팀워크 (Team Work)를 고려한 인사(팀원 잦은 교체 자제)가 있으며, 제도적 측면에서는 안전센터 화재진압요원에게도 일반 구조업무를 할 수 있도록 제도 개선(화재와 구조업무를 통합하여 한 개의 팀으로 활동), 위험도 및 난이도가 낮은 생활안전구조는 센터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교육, 지원(센터 이관), 시민수상구조대 등 파견제 폐지(소방 고 유업무 수행), 소방기술경연대회 종목 현실화(실제 현장의 구조업무와 동떨어진 응용구조 등의 종목 존재), 소방 기술경연대회 횟수 단축(1년 1회 → 2년 1회), 불필요한 행정 삭제 및 보고문서 간소화(구조현장에 꼭 필요한 업무 발굴)안이 도출되었다.
 장비적 측면에서는 사용빈도가 높은 소모품 및 구조장비의 구매시기 단축, 일선 소방서 별 특화된 장비구매 체제 확보(본부 일괄 장비 지급 지양), 구조대 배치 장비, 신규 도입시 구조대원의 의견 적극 수렴 및 구조활동복 개선(구조활동시 너무 불편함)이 있으며, 교육적 측면에서는 유튜브 등 동영상 활용한 장비사용법 등 확대 배포(동 영상 매뉴얼 부족), 지방소학학교에서도 인명구조사1급 자격시험 볼 수 있도록 제도 마련, 인명구조사시험 횟수 확대 시행, VR 체험을 통한 현장안전교육시스템 신설· 건립추진 및 비번일 활용 일상교육훈련 실시(출동대기 중 훈련의 질 약화 우려) 안이 도출 되었다.
 

4. 장·단기 로드맵 제시

 구조대원의 구조품질 강화를 위하여 제시되는 전체로 드맵의 추진기간은 “단기”, “장기”적 관점에서 설정하였으며 추진 기간은 정부의 정책적 유연성에 따라 적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별도로 설정하지 아니하였으며 로드 맵 제시 결과는 총 54건(단기 28건, 장기 26) 도출되었으며 세부적으로는 안전관리 분야 18건(단기 8건, 장기 10 건), 전문역량 분야 14건(단기 7건, 장기 7건) 및 기타 정책지원 분야 22건(단기 13건, 장기 9건)이 도출되었다. 


4.1 안전관리 분야

 구조품질 향상을 위한 안전관리 분야의 장·단기 로드 맵 도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단기적 로드맵
    (인력)역량있는 구조대장 및 현장점검관 배치
    (교육)체력관리프로그램 적극 운영
    (교육)현장안전교육의 내실화(구조유형별 특화된 교육)
    (제도)구조활동 계획·절차의 검토 및 사후검토제도 도입(잘못된 구조에 대한)
    (훈련)구조유형, 위기상황별 SOP숙지·위험예지훈 련 등 구조활동 공간에 대한 충분한 정보 제공
    (훈련)도상훈련 등 강화 실시(구조환경에 대한 정보 적극활용)
    (장비)현장에 맞는 구조장비의 신속보급(중장비, 등 지게 일체형 탈출장비, 분대용 현장활동 무선 통신장비, 흄관 통과시 두부타격을 견딜 수 있 는 보호장비 등)
    (장비)주기적 장비점검의 철저 ·장기적 로드맵
    (인력)구조대 인력(경력자)확충
    (인력)구조 유형별 구조대 내 역할분담 기준 마련 및 배치
    (인력)현장안전전담부서 신설(부서내 신속동료구조 팀 편성)
    (교육)안전의식 함양방안 마련(구조활동 위험성 평 가제 도입, 도제식(1:1) 교육 등)
    (제도)현장안전점검관 역량강화 프로그램 운영
    (제도)현장 유형별 구조 매뉴얼 보급(흄관, 물탱크, 고소, 수중 등)
    (제도)구조대 회복지원차량 운영(피로와 집중력 강화)
    (제도)현장안전관리 계획 및 매뉴얼 제정 및 전파
    (제도)실효성 있는 교육훈련 평가제도 도입(승진 등)
    (장비)안전확보 장비기준 마련
 

4.2 전문역량 분야

 구조품질 향상을 위한 전문역량 분야의 장·단기 로드 맵 도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단기적 로드맵
    (인력)구조대장(원) 인명구조사 자격자 배치(전문 적 지식)
    (장비)구조 유형별 현장에 맞는 신 구조장비 도입 (일선 소방서별 특화된 구조장비)
    (장비)노후된 구조장비 신속 교체(절차 간소화)
    (교육)구조대원 진급 시 계급에 맞는 구조교육과정 개설
    (교육)구조현장에 맞는 구조대원 보수교육과정 개 설 및 전문역량 향상을 위한 구조수업의 비중 확대
    (교육)외부기관을 통한 전문교육 확대 및 평가제 도 입
    (교육)산악, 수난, 로프구조, 드론운영 등 전문교육 확대
 
   ·장기적 로드맵
    (인력)구조분야 장기근무제도 마련(구조대 인원의 잦은 인사)
    (인력)구조대장 최소(10년) 근무연수 제도 마련(현 장경험 없는 팀장 인사 등 지양으로 구조대장 전문성 결여 해소)
    (교육)구조현장 별 세분화된 구조 매뉴얼 마련 및 보급
    (훈련)소방서 단위 팀별(팀웍중시) 종합훈련시설 확충
    (훈련)지역적, 특정 재난현장에 맞는 교육훈련 시설 확충(실제 체험위주 현장교육, )
    (훈련)실물화재(구조) 집중훈련시설 확충(형식적 SOP 교육 지양)
    (훈련)수난 훈련 가능한 소방전용 수영장 확보 및 교 육(수난구조기술 강화)
 

4.3 기타 정책지원 분야

 구조품질 향상을 위한 기타 정책지원 분야의 장·단기 로드맵 도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단기적 로드맵
    (인력)팀웍(Team-Work)을 고려한 인사(팀원 잦 은 교체 자제)
    (인력)구조대 격무부서 가점 인정(승진가점 등)
    (교육)유트브 등 동영상 활용 장비사용법 등 확대 배 포(사이버교육 지양)
    (교육)비번일 활용 일상교육훈련 실시(출동대기 중 훈련의 질 약화 우려, 교육수당 지급)
    (제도)위험도가 낮은 생활안전구조는 센터에서 처리 (구조대와 생활안전출동대 분리)
    (제도)소방기술경연대회 종목 현실화(실제 구조현 장에서의 구조업무와 동떨어진 종목 존재)
    (제도)소방기술경연대회 횟수 단축(1년 1회 → 2년 1회)
    (제도)불필요한 행정 삭제 및 보고문서 간소화(행정 및 보고문서 간소화 → 구조대 업무 집중)
    (제도)시민수상구조대 등 파견 폐지(소방 고유업무 수행 →민간, 의소대 배치)
    (장비)사용빈도가 높은 소모품 및 구조장비의 구매 시기 단축(요청시 신속지급)
    (장비)일선 소방서별 특화된 장비구매 체제 확보(본 부 일괄 장비 지급 지양)
    (장비)구조대 배치 및 장비의 신규도입 시 구조대원 의견 적극 수렴
    (장비)구조활동복 개선(구조활동시 활동이 너무 불 편함)
 
   ·장기적 로드맵
    (인력)구조 주특기(수중, 중량물, 산악, 화학, 위험물, 고층구조 등) 분야 신설 및 채용
    (인력)관내(예:면단위) 구조대 증설(한개서, 한 개의 구조대 및 구조인력 부족)
    (인력)신임 구조대원 특채 비율 확대(공채에서 지원, 선발은 지양)
    (교육)VR체험을 통한 현장안전교육시스템 신설·건 립추진
    (교육)지방소방학교에서도 인명구조사 1급 자격시 험 볼 수 있도록 제도 마련
    (교육)인명구조사 시험 횟수 확대 시행(기회 부여)
    (제도)안전센터 화재진압대원도 일반 구조업무를 할 수 있도록 제도 개선
    (제도)생활안전구조분야 업무 최소화(문잠김사고, 동물구조 등 비긴급 구조업무 위험평가 후 선 별 대응) 및 출동대 편성기준 개편
    (확대)권역별 일선소방서의 테러, 화학물질사고, 도 시탐색구조, 수난구조, 산악구조 등 특수 전문 역량 강화(역할모델을 중앙119구조본부와 같 이 변화 추진-현장대응 외 기획, 연구, 교육 기능 등 추가)
 

5. 결 론

 본 연구는 구조품질 향상을 위한 장·단기 로드맵 제시를 위하여 안전사고의 사례분석 및 구조대의 안전 및 역량 강화를 위한 설문조사 결과를 활용하였으며, 이 연구로 구조대의 체계적인 현장 안전관리와 전문역량의 향상을 통하여 구조대원의 순직 감소와 구조품질 서비스를 높일 수 있으리라 예상되며 구체적으로 본 논문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구조품질 향상을 위한 로드맵은 정부 주도하의 통합적인 기술로드맵으로서 효과적인 의사결정으로 즉시 활용이 가능토록 하기 위하여 안전관리 분야는 구조대 현장활동 안전사고 사례 분석 결과를, 전문역량 및 기타 정책지원 분야는 국내·외 구조업무 수행조직별 비교, 구조 서비스수혜자 만족도 설문조사 및 구조품질 향상을 위한 기타 설문 결과를 토대로 인력(인원), 교육·훈련, 장비 및 제도적 측면에서의 로드맵을 제시하였다.
 두 번째로 구조대원의 구조품질 강화를 위하여 총 54개 의(단기 28건, 장기 26)의 로드맵을 제시하였으며 세부적으로는 안전관리 분야 18건(단기 8건, 장기 10건), 전문역량 분야 14건(단기 7건, 장기 7건) 및 기타 정책지원 분야 22건(단기 13건, 장기 9건)을 제시하였다.
 끝으로 정부주도의 기술 로드맵의 한계점은 장기 및 단기적 관점에서의 로드맵을 제시할 수 있을 뿐이며, 구체적인 적용 시점에 관하여는 정부의 정책적 유연성에 따라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Figure

Table

Reference

  1. [1] B. S. Kim(2011), “Advancement plan by analyzing the actual situation of the firefighting administrative organization.” Master’s thesis, Kyungil University.
  2. [2] K. Y. Kim(2013), “Construction technology roadmapping for port offshore wind farm.”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11(2): 137-148.
  3. [3] M. S. Kim(2016), “A method for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technology roadmap: Focusing on the process and tools.” Master's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4. [4] S. H. Ham(2015), “A study on restructuring of fire fighting.”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Seoul.
  5. [5] T. B. Kim(2016), “4M analysis of the factors aggravating firefighter's field safety.” Master's thesis, Ajou University.
  6. [6] H. R. Lee(2017), “A study on suggestion to the road-map for activation plan of standard activities to improve competitiveness in construction industry.”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Graduate School of Industry.
  7. [7] National Fire Agency(2016), Rescue crew safety accident case book, 23. www.nfa.go.kr
  8. [8] National Fire Agency(2019), Analysis of rescue activities in 2019, 1~7. www.nfa.go.kr
  9. [9] National Fire Agency(2020a), 2020 national fire service statistical yearbook, 32. www.nfa.go.kr
  10. [10] National Fire Agency(2020b), Comprehensive measures for safety management of on-site firefighting activities in 2020, 4~5. www.nfa.go.kr
  11. [11] National Fire Agency(2020c), 2020년 119구급서비스 품질관리 게획, 2. www.nfa.go.kr
  12. [12] FPN(2020a), [The story of Lee Kun's US Air Force fire station] How are Korea and the United States different? www.fpn119.co.kr
  13. [13] FPN(2020b), Comparison of SCBA owned by the US fire brigade and the Korean fire brigade. www.fpn119.co.kr
  1. SEARCH
  2. Online Submission

    http://submission.koreasafety.or.kr

  3. KSSM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ManagementWaste Society

  4. Editorial Office
    Contact Information

    - Tel: +82.31.336.2844
    - Fax: +82.31.336.2845
    - E-mail: safety@mju.ac.kr